왜 웹3 시대에 개인정보 보호는 더 이상 선택 사항이 아닌가?
데이터 침해로 인해 실제 문제가 드러날 때

이번 주 초, JP모건 체이스, 시티그룹, 모건스탠리 등 미국 주요 은행들의 민감한 고객 정보가 위험에 처해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이번 사이버 공격은 모기지 기술 제공업체인 시투스AMC를 표적으로 삼았습니다. 유출된 내용에는 회계 문서, 법률 문서, 그리고 경우에 따라 고객 재무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사건의 전체 규모는 아직 조사 중이지만, 더 심각한 문제가 드러났습니다. 현대 금융 인프라의 보안은 연결된 서비스 제공업체의 가장 취약한 연결 고리에 달려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데이터 유출 자체보다 더 우려스러운 것은 이러한 패턴이 만연하다는 것입니다. 편의성, 통합, 자동화를 위해 구축된 시스템은 끊임없이 확장되는 반면, 개인정보 보호는 일관성이 없고 종종 선택 사항입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는 전례 없는 속도로 흐르지만, 이를 보호할 만큼 강력한 보안 장치는 부족합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JPMorgan Chase, Citigroup, Morgan Stanley의 고객 데이터가 공급업체에 대한 해킹 공격으로 인해 유출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끊임없이 상기시켜 드립니다. 개인정보 보호는 기능이 아니라 위생 습관입니다.
이 소식이 알려진 직후, 이더리움 공동 창립자 비탈릭 부테린은 공개적으로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는 기능이 아니라 위생습관입니다."
이는 단순한 반응이 아니라, 웹 3.0 환경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화적 변화를 반영합니다. 수년간 개인정보 보호는 일종의 스위치 또는 제품 설정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사용자는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도구를 설치하거나, 지갑 동작을 수동으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델은 개인정보 보호가 근본적인 기능이 아닌 추가적인 기능이어야 한다고 가정합니다. 부테린의 프레임워크는 이러한 기대를 뒤집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는 조용하고, 자동으로, 그리고 기본적으로 작동해야 합니다.
그의 발언은 새로운 진실을 반영했기에 공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바로 디지털 소유권이 실질적인 경제적 영향력을 갖는 세상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세상에서 개인정보 보호는 더 이상 선택 사항이 아니라 구조적 요소가 되어야 합니다.
이더리움 창립자 비탈릭 부테린은 은행 데이터 유출 사건 이후 "개인정보 보호는 위생이다"라고 말했습니다.
Web3의 개인정보 보호: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가?
블록체인은 투명성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습니다. 모든 거래, 잔액, 자금 흐름이 투명하게 공개되고 검증 가능합니다. 이는 분산 시스템을 예측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게 만듭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투명성은 사용자 행동, 주소 관계, 그리고 금융 신원까지 노출될 수 있습니다.
Web3의 개인정보 보호 트랙은 바로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투명성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 가시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즉, 사용자, 프로토콜 또는 조직이 필요한 경우에만 필요한 정보를 공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간단히 말해, 개인정보 보호 인프라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상대방을 노출시키지 않고 거래를 어떻게 검증할 수 있나요?
- 스마트 계약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어떻게 조작하나요?
- 사용자는 기밀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도 규정 준수 여부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습니까?
- 조직은 자체 운영 모델을 노출하지 않고도 블록체인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규제 기대치가 진화하고 도입이 가속화됨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는 틈새 기능에서 확장 가능한 디지털 인프라의 필수 구성 요소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 생태계 내의 하위 부문
프라이버시 공간은 종종 한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보기보다 훨씬 다양합니다. 오늘날 프라이버시 공간은 크게 네 가지 발전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개인 거래
이러한 프로토콜을 통해 사용자는 거래 내역이나 지갑 연결을 노출하지 않고 자산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전 믹서와 달리, 새로운 방식은 완전한 익명성을 보장하는 대신, 더욱 규정을 준수하는 증명 시스템을 도입합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프라이버시 풀(Privacy Pools)입니다. 자금을 식별 불가능한 풀에 숨기는 대신, 사용자는 자신의 자산이 불법적인 출처에서 나온 것이 아님을 암호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감사 가능성을 유지하면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기밀 컴퓨팅
이 기술은 여기서 더욱 근본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단순히 거래 대상을 숨기는 것이 아니라 암호화 연산을 지원합니다. 즉, 스마트 계약은 검증자에게 공개하지 않고도 개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 분야의 주요 프로젝트 중 하나는 완전 동형 암호화(FHE)에 중점을 둔 Existence입니다. Existence의 목표는 간단하지만 심오합니다. 기존 블록체인 인프라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프라이빗 스마트 컨트랙트의 사용자 경험을 퍼블릭 스마트 컨트랙트만큼 원활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개인정보 보호 신원
익명 지갑에서 온체인 신원 및 자격 증명으로 전환하는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선택적 정보 공개 프레임워크를 통해 사용자는 불필요한 개인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도 나이, 국적, 자산 소유 여부 등의 자격 요건을 입증할 수 있습니다.
이 범주는 분산형 ID(DID) 프레임워크와 교차하며 토큰화된 자산, 기관 DeFi, 온체인 신용 시스템과 같은 규정 준수 중심 애플리케이션에 점점 더 중요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규제된 개인 정보 보호 인프라
마침내, 새로운 유형의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바로 처음부터 법적 틀을 준수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더 이상 개인정보 보호와 규정 준수가 상충한다고 가정하지 않고, 오히려 이를 조화시키려 합니다. 비탈릭의 철학은 바로 여기에 가장 잘 구현되어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는 기본 원칙이며, 투명성은 필요한 경우에만 제공됩니다.

개인정보 보호 리더들이 다음 단계를 정의합니다.
개인정보 보호 기술 스택이 발전함에 따라 일부 프로젝트는 실험 단계에서 벗어나 체인상 개인정보 보호 개발을 위한 기준점으로 발전했습니다.
오늘날 가장 두드러진 사례 중 하나는 이더리움 기반 프라이버시 풀(Privacy Pool)입니다. 이전 프라이버시 모델을 업그레이드한 이 풀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규정 준수를 입증하는 동시에 거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도입합니다. 단일하고 무차별적인 익명성 집합에 의존하는 대신, 암호화 증명을 사용하여 거래 출처를 분류함으로써 사용자가 금지된 그룹에 속하지 않음을 입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설계는 완전한 익명성과 완전한 투명성 사이에 위치하며, 가시성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프라이버시를 규제 기대치에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프라이버시 풀은 "규제된 프라이버시"에 대한 논의에서 자주 언급되는데, 이는 기관들이 웹 3 시대로 접어들면서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는 개념입니다.
이 분야의 또 다른 중요한 프로젝트는 완전 동형 암호화(FHE)에 중점을 둔 Zama입니다. 프라이버시 풀이 거래 수준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중점을 두는 반면, Zama는 이 개념을 더 심층적인 단계, 즉 연산 수준으로 확장합니다. FHE를 사용하면 스마트 계약이 복호화 없이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해 직접 로직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즉, 검증자는 기본 정보에 접근하지 않고도 실행의 정확성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시성과 검증이 불가분의 관계였던 기존 블록체인 모델과는 크게 다릅니다. Zama의 연구는 개인 대출, 개인 투표, 암호 금융 상품, 그리고 매우 높은 기밀 유지 요건을 갖춘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접근 경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폭넓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아직 활발하게 개발 중이며, 기존 블록체인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개발자들이 기술을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접근 방식 외에도, 사용자가 정보를 선택적으로 공개할 수 있도록 하는 영지식 기반 검증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신원 중심 프로토콜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신원 속성을 공개하거나 불필요한 메타데이터를 노출하지 않고도 자격, 거주지 또는 자산 기준을 충족함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중요한 방향을 제시합니다. 웹 3.0 시대의 프라이버시는 더 이상 거래 보호에만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체인 내에서 어떻게 존재하는지 까지 확장됩니다.
개인정보 보호 생태계에서 아직 확실한 승자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이 분야의 발전 방향을 보여줍니다. 개인정보 보호는 고립된 도구에서 임베디드 아키텍처로, 틈새 애플리케이션에서 인프라 통합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정보 유출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방어적 자세에서 건설적인 자세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암호화 연산과 선택적 정보 공개 없이는 불가능했을 수많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탄생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건설사, 기관, 규제 기관이 이 분야에 참여함에 따라 논의의 초점도 점차 바뀌고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는 더 이상 규정 준수나 도입의 장애물이 아니라, 디지털 소유권의 책임 있는 확대에 필요한 기본 요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 기반 인프라의 미래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프라이버시 "툴킷"이 아니라, 프라이버시 네이티브 아키텍처의 프로토타입입니다. 이러한 관점은 점차 변화하고 있습니다. 프라이버시는 더 이상 은폐의 문제가 아니라 안전한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문제입니다. 프라이버시는 임시방편이나 틈새시장을 겨냥한 기능이 아니라, 건전한 디지털 경제 구축에 필수적인 기반입니다.
아마도 이 은행 데이터 유출 사건과 비탈릭의 발언에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가장 큰 교훈은 개인정보 침해는 사용자가 두려워하는 기술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고, 오히려 사용자가 신뢰하는 시스템에서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Web3가 소유권, 자율성, 개방형 시스템에 대한 약속을 이행하려면 개인정보 보호가 선호사항에서 표준으로 발전해야 합니다.
디지털 금융의 미래는 투명성 그 이상에 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무엇을 공개해야 하는지와 무엇을 비밀로 유지해야 하는지의 균형을 맞춰야 합니다.
- 核心观点:隐私应成为Web3基础设施的默认标准。
- 关键要素:
- 银行数据泄露暴露第三方服务安全漏洞。
- Buterin提出隐私是基础卫生而非功能。
- 隐私技术实现选择性披露与合规平衡。
- 市场影响:推动隐私基础设施成为行业刚需。
- 时效性标注:长期影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