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 경고: '가상화폐', '블록체인'이라는 이름으로 불법 자금 모집 위험에 주의하세요. — 은행보험감독관리위원회 등 5개 부처
검색
로그인
简中
繁中
English
日本語
한국어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BTC
ETH
HTX
SOL
BNB
시장 동향 보기

딜러의 배송 루틴 공개: 부추처럼 되지 마세요

区块律动BlockBeats
特邀专栏作者
2025-02-28 08:00
이 기사는 약 2827자로, 전체를 읽는 데 약 5분이 소요됩니다
담보, 재매수, 일방적 풀, 계약...

시장은 계속 하락하고 있으며, 많은 알트코인은 더 이상 하락할 수 없는 지점까지 하락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하락장이 도래했다고 믿습니다. 시장 조정 기간은 위험이 집중적으로 해소되는 단계인 경우가 많지만, 투자자가 인식을 강화하고 힘을 축적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이번 시장 주기를 돌이켜보면 다양한 시장 조성자들의 종료 전략이 다양했고, 그들이 신중하게 고안한 판매 기술 역시 심층 분석할 만한 가치가 있었습니다.

전통적인 시장 조작 이론은 은행가의 운영이 자금 축적, 가격 상승, 세척, 선적의 4단계에 불과하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핵심 본질은 항상 시장 참여자의 감정과 행동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입니다. 시장 조작자들은 주가 변동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매 투자자들의 결정에 미묘한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복잡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 소매 투자자는 판매 시 시장 조성자의 신호를 효과적으로 식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리는 어떻게 위험 예방 인식을 개선하고 함정에 빠지는 것을 피할 수 있을까요? BlockBeats는 커뮤니티 토론을 토대로 일방적인 유동성 풀, 거짓 재매수 혜택, 현물 통제 계약 수확, 고금리 약속을 포함한 일반적인 배송 루틴을 독자 참고 자료로 요약했습니다.

일방적 유동성 풀을 추가하고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돈을 벌어라

이러한 유형의 일방적 유동성 풀 제공 방법의 가장 전형적인 운영은 얼마 전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지원한 LIBRA 토큰입니다. LIBRA 프로젝트는 Meteora 플랫폼에 LIBRA-USDC와 LIBRA-SOL의 일방적 유동성 풀을 설정했습니다. 즉, USDC나 SOL과 같은 상대방 자산을 추가하지 않고 LIBRA 토큰만 풀에 추가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Bublemaps

일방적 풀의 작동 방식은 SOL만 추가한 경우 SOL 가격이 상승하면 USDC를 교환하여 SOL을 지속적으로 판매하는 것과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USDC만 추가한다면, SOL 가격이 하락하면 SOL을 계속 매수하세요. 이 논리를 LIBRA에 적용하면 LIBRA 풀에는 LIBRA만 있고 USDC나 SOL이 없으므로 LIBRA를 매수하면 매도 상대방이 없어 가격이 바로 오르게 되고, 이로 인해 초기에는 "상승만 하고 하락은 없다"는 착각이 생깁니다.

그리고 프로젝트 팀이 초기 단계에 LIBRA 유통 토큰의 대부분을 통제했기 때문에 Uniswap과 같은 플랫폼과 같은 상대방으로 실제 스테이블코인이나 ETH를 제공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프로젝트 파티는 다른 가격으로 자체 LIBRA 토큰에 대한 매수 주문만 하면 됩니다. 시장에 유통되는 매도 주문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매수 주문은 지속적으로 실행되어 가격을 더욱 끌어올리고 거짓 번영을 만들어냅니다.

"거짓 번영"이 많은 투자자를 끌어들이고 가격이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려지고 충분한 자금이 주입되면 프로젝트 당사자는 다음 단계인 풀 인출을 시작합니다. 투자자들이 LIBRA를 구매할 때 이전에 투자한 스테이블코인이나 다른 자산을 미리 설정된 수집 주소로 신속하게 이체합니다. 일방적 유동성 풀의 특성으로 인해 풀에 상환 가능한 자산이 없습니다. 투자자들은 현재 LIBRA를 실제로 판매할 수 없으며, 새로운 매수 작업은 실제 지원이 없는 가격을 더욱 끌어올릴 뿐입니다. 프로젝트 당사자도 현재 선적 목적을 완료했습니다.

LIBRA 프로젝트는 가격 조작 외에도 CLMM 풀의 사용자 정의 수수료 기능도 활용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전체 과정에서 1000만~2000만 달러 이상의 추가 수수료를 벌어들였는데, 이는 당시 트럼프가 받았던 높은 수수료와 비슷한 수준이다.

또한, DeFi 프로토콜 dForce의 설립자인 민다오는 유니스왑 V3도 일방적 유동성 기능을 제공하지만, 주요 목적은 자본 활용을 개선하고 전문 마켓 메이커의 요구를 충족하는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LIBRA의 핵심은 복잡한 풀 설정과 높은 사용자 정의에 있으며, 이로 인해 일방적 유동성 풀의 원래 설계 의도는 유동성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후의 가격 조작과 유동성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입니다.

매수는 좋지만 횡보 범위를 돌파하지 못함

최근 TGE를 실시한 GambleFi 플랫폼인 Rollbit은 2023년 8월에 토큰 경제를 변경하고 카지노 수익의 10%, 스포츠북 수익의 20%, 1000배 계약 수익의 30%를 매일 RLB를 재매수하고 파기하는 데 사용할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했습니다. 이 소식이 나온 후 토큰 가격이 상승했지만, 불과 2개월 후 토큰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커뮤니티 사용자들은 그 뒤에 알려지지 않은 "배송" 작업이 숨겨져 있다는 것을 점차 알게 되었습니다. Rollbit 팀은 Rollbit Hot Wallet을 통해 토큰을 세탁한 다음 알고리즘 배송 주소를 통해 토큰을 시장에 판매했습니다.

환매는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당사자가 시장을 안정시키고 코인 가격을 인상하는 수단으로 간주됩니다. 일반적으로 재매입 자금은 프로젝트 당사자의 수익이나 자본 증가에서 나와야 하지만, 이 자금이 프로젝트 당사자의 "핫 월렛"(대량의 토큰이나 자금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내부 지갑)에서 나올 경우, 이 자금은 시장으로 유입되는 외부 자금이 아니라 프로젝트 당사자가 미리 보유한 자금입니다.

프로젝트 당사자가 자체 핫 월렛을 통해 재매수 시장에 자금을 투자한다고 가정하면, 이러한 자금은 실제로 프로젝트 당사자 자신의 소유가 됩니다. 프로젝트 당사자가 이 자금을 사용해 시장에서 토큰을 구매할 경우, 실제로 토큰이 파괴되거나 사라지지 않고 프로젝트 당사자의 손으로 돌아갈 수도 있습니다. 재매수된 토큰은 프로젝트 당사자의 핫 월렛을 통해 프로젝트 당사자가 제어하는 알고리즘적 배달 주소로 다시 흘러들어 다시 시장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토큰 가격이 계속 하락함에 따라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Rollbit 팀이 다양한 체인과 시장에서 투명성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의문을 제기합니다.

"물품의 30%를 팔고 10%를 다시 사는" 방법은 통화 가격을 효과적으로 인상할 수 없을 것입니다. 대신, 그것은 프로젝트 당사자가 신중하게 전개한 또 다른 선적 사기입니다.

스팟 컨트롤, 계약 숏 포지션이 광적으로 수확됩니다

"마음에 들지 않으면 숏을 해도 된다"는 한때 이 라운드에서 가장 높은 승률을 보인 거래 방법이 되었습니다. 새로운 코인의 수수료는 종종 최대치로 인상되고 급등락하지만, "VC 코인" 십자군 이후 대부분의 2차 거래 대상은 며칠 동안 하락세를 보인 후 급등하다가 장기간 하락세로 접어들었습니다. 이것이 또한 상품을 운송하는 방법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핵심은 계약 시장의 유동성 부족과 소매 투자자들의 상승과 하락하는 가격을 쫓는 사고방식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전체 과정은 여러 단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 새로운 통화가 출시되는 초기 단계에서 시장 조성자는 일반적으로 시장을 지원하지 않기로 선택하여 초기 단계에서 에어드랍을 받은 소매 투자자가 매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단계의 주요 목적은 단기 투기자를 정리하고 후속 작업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이후 시장조성자들은 가격 인상과 선적에 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전에 그들은 가능한 한 현물 칩을 통제하고, 유통량을 줄이고, 매도 주문이 가격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보장하며, 공매도자가 코인을 빌릴 가능성도 제한합니다. 현물 칩이 확고하게 통제되면 시장 조성자는 비교적 적은 양의 자금을 사용하여 가격을 올리거나 심지어 숏 스퀴즈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현물을 매수하고 롱 계약을 열기로 선택하면 프로젝트 당사자/시장 조성자/기관 투자자를 위해 충분한 구매자를 축적하고 일괄적으로 배송하여 다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시장에서 단기 포지션이 감소하고 가격이 특정 수준까지 오르면, 시장 조성자들은 계약 시장을 이용해 유동성을 확보하기 시작합니다. 그들은 소매 투자자들을 끌어들여 가격 상승을 쫓고 거짓된 번영을 만들어내기 위해 통화 가격을 급격하게 인상할 것입니다. 이런 상승폭은 대개 상당하지만, 일반적으로 개장 가격을 넘지 않습니다. 이후 해당 계약의 미결제 약정이 크게 증가하고 자금 조달 비율이 마이너스로 전환되기 시작하는데, 이는 시장 조성자들이 단기 포지션을 구축하기 시작한다는 신호입니다.

마지막으로, 트레이더들은 현물 시장에서 점차 매도합니다. 이것으로 얻는 이익은 제한적이지만, 더 중요한 것은 계약 시장에서 공매도를 통해 충분한 퇴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많은 수의 소매 투자자들이 가격 상승을 쫓는 과정에서 매수 포지션을 취했고, 시장 조성자들의 숏 포지션에 대한 상대방을 제공했습니다. 시장 조성자들이 계약 시장에서 단기 포지션을 계속 늘리고 현물 시장에서 매도하자, 통화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많은 수의 장기 포지션이 청산되어 이중 수확을 달성하게 되었습니다.

소액 투자자는 담보 게임을 할 수 없습니다.

옛날 옛적에 스테이킹을 위한 토큰 오픈은 프로젝트 운영 리듬에 대한 긍정적인 릴리스로 여겨졌습니다. 원래 의도는 사용자가 네트워크 유지 관리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토큰을 잠가 시장 유통을 줄이며, 토큰 희소성을 높이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많은 프로젝트 소유자는 이 메커니즘을 현금으로 토큰을 판매하는 덮개로 사용했습니다.

프로젝트 파티는 고금리 스테이킹 보상을 통해 투자자들이 대량의 칩을 잠그도록 유도합니다. 표면적으로는 시장 유통을 줄여 통화 가격을 안정시키고자 하지만, 실제 결과는 대부분의 플로팅 칩이 잠긴 위치에 갇혀 제때 인출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프로젝트 소유자와 담보를 선택한 소매 투자자는 정보 비대칭 환경에 처해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그들은 마음대로 제품을 판매할 수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프로젝트 소유자나 대형 투자자가 담보를 선택하더라도 높은 담보 수익을 거둔 다음 계속해서 시장을 덤핑할 것입니다.

또한 스테이킹 기간이 끝나고 투자자들이 공황상태에 빠져 토큰을 매도하기 시작하면 프로젝트 측이 낮은 가격으로 칩을 흡수한 후 시장 심리가 안정되고 가격이 회복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현금화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는 가격 회복의 기미를 보고 투자자들이 몰려들었지만, 주력은 이미 출하작업을 끝낸 상태이고, 고가에 인수한 파만 남았다.

위의 배송 방법을 살펴보면, 그 본질은 시장 기대와 투자자 심리의 정확한 통제와 게임에 관한 것입니다. 소매 투자자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장에서 살아남으려면 은행가의 사고방식이 필요합니다. 소위 '좡의 심리'는 은행원처럼 시장을 조작하는 것을 뜻하지 않지만, 시장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고하며, 사전에 위험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시장은 감정의 증폭기입니다. 침착함과 이성을 유지해야만 수확의 표적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 "매수", "담보" 또는 "일방적 풀"이라는 단어를 듣게 되면 좀 더 경계하는 것이 좋으며, 프로젝트 당사자가 신중하게 설계한 "함정"을 피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이 알고 있는 다른 배송 방법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참조 링크:

https://x.com/MasonCanoe/상태/1891364478572462296

https://x.com/kylopeung/상태/1891063885911716341

https://x.com/Michael_Liu93/상태/1830425923403059603


투자하다
Odaily 공식 커뮤니티에 가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