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작자: 유키, PaperMoon
최초의 Substrate부터 현재의 Polkadot SDK에 이르기까지 Polkadot의 목표는 단일 체인의 궁극적인 성능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이기종 멀티체인을 지원하기 위한 보편적인 기반을 구축하여 누구나 빌딩 블록처럼 자신만의 블록체인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시스템은 호환성보다는 결합성을, 단일 최적화보다는 시스템 수준의 협업을 중시합니다. 모듈식 거버넌스, 보안 메커니즘, 그리고 네이티브 크로스체인 프로토콜(XCM)을 통해 미래 개발자에게 "재사용 가능한 기본 주문"을 제공합니다.
개빈 우드가 언급했듯이, 폴카닷은 "대량 호환이 가능한 새로운 체인"이 아니라, 생태계 혁신과 여러 체인의 미래를 지원하는 체인 구축 시스템입니다. 폴카닷 SDK는 이러한 시스템의 최신 버전으로, 통합 인터페이스, 표준화된 개발 스택, 그리고 크로스 VM 체인 구축 엔진을 제공합니다.
Substrate의 역사와 한계
2018년 Parity에서 출시한 Substrate는 Rust로 작성된 모듈형 블록체인 개발 프레임워크로, Polkadot 메인넷과 생태계 내 수십 개의 체인에 핵심 기술 기반을 제공합니다. 가장 큰 혁신은 합의 알고리즘, 런타임 로직, 계정 모델, 자산 거버넌스, 스마트 컨트랙트를 자유롭게 조합 가능한 팔레트 모듈로 분해한 것입니다. 어떤 팀이든 맞춤형 블록체인을 빌딩 블록처럼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Substrate는 업계 최초의 진정한 레이어-0 프레임워크로 널리 인정받고 있습니다.
폴카닷 서브스트레이트는 블록체인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개척하여 체인 구축 개념을 독립적이고 폐쇄적인 설계에서 "레고처럼" 맞춤형 블록체인으로 전환했습니다. 개발자는 FRAME 시스템을 통해 거버넌스, 스테이킹, 컨트랙트, 신원, DEX와 같은 기능 모듈을 자유롭게 조립하여 "체인 수준의 모듈식 개발"을 실현하고 DeFi, NFT, DID 및 기타 시나리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체인을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설계 덕분에 초기 폴카닷 생태계는 매우 짧은 기간 내에 다양한 체인 수준의 혁신을 촉진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모듈성이 제공하는 높은 수준의 사용자 정의 자유도는 생태계 수준에서의 파편화라는 부담을 안겨줍니다. 수년간의 반복 작업 끝에, 파라체인 구축을 위한 코드와 기능은 Substrate, Cumulus, Polkadot과 같은 여러 코드 저장소에 분산되었습니다. 각 프로젝트는 서로 다른 버전에 의존하고 서로 다른 브랜치를 사용하며, 이로 인해 API와 문서 시스템 간에 심각한 단절이 발생합니다.
메인 브랜치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많은 팀이 자체 런타임을 포크하고 수동으로 버전을 관리해야 합니다. 이로 인해 생태계를 메인 브랜치와 병합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저장소 간 동기화가 복잡해지며, 버전 업데이트가 지연됩니다. 기본 종속성과 인터페이스가 독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전체 생태계는 세 가지 주요 병목 현상에 직면합니다.
● 업그레이드가 어려움: 메인 트렁크가 느리게 진행되고, 모듈 업데이트는 수동 동기화가 필요하며, 많은 체인이 오랫동안 구버전에 머물러 있습니다.
● 협업의 어려움: 서로 다른 팀의 런타임을 직접 재사용할 수 없으며, 크로스 체인 또는 공유 모듈 개발에는 반복적인 작업이 필요합니다.
● 보급이 어려움: 문서와 툴체인이 단편화되어 있고 학습 곡선이 가파르기 때문에 새로운 개발자가 체인 수준 개발을 체계적으로 익히기 어렵습니다.
결과적으로 Substrate의 모듈화 자유도는 생태계 수준에서 실제로 분열을 초래했습니다. 따라서 Parity는 모든 핵심 모듈, 인터페이스 및 저장소를 완전하고 표준화된 Polkadot SDK로 통합하는 중요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Polkadot SDK의 탄생: 통합 프레임워크 리팩토링
수년간의 단편적인 협업 끝에 Parity는 마침내 2023~2024년에 역사적인 건축 통합을 수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공식 팀은 Substrate, Cumulus, Polkadot (FRAME 및 노드 관련 저장소 포함)을 단일 코드베이스인 Polkadot SDK로 병합했습니다.
오랫동안 여러 저장소의 독립적인 발전으로 인해 개발자들은 프로젝트 간 협업, 종속성 업데이트, 버전 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Polkadot SDK는 통합된 종속성 관리, 표준화된 개발 사양, 동기식 코드 업데이트 메커니즘을 통해 여러 저장소 간의 빈번한 동기화 및 충돌을 완전히 제거합니다.
Parity는 합병 발표에서 이번 조치가 Substrate를 단순한 "유연한 엔지니어링 프레임워크"에서 Polkadot 생태계 전체를 지원하는 표준화된 프로토콜 스택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명시했습니다. 새로운 Polkadot SDK 라이브러리는 Polkadot의 모든 핵심 구성 요소를 통합합니다.
● Substrate: 블록체인 런타임, 합의 및 핵심 모듈을 제공합니다.
● FRAME: 플러그형 런타임 로직을 구현하기 위한 팔레트 모듈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 Cumulus: 파라체인 어댑터 레이어로서 체인을 릴레이 체인에 직접 연결할 수 있게 해줍니다.
● 폴카닷 노드: 마스터 노드 프로토콜 스택과 네트워크 통신 로직을 정의합니다.
Polkadot SDK의 핵심 기술 구조

모든 모듈, 종속성 및 문서는 이제 완전한 마이그레이션 문서와 업데이트 내역을 갖춘 하나의 저장소 로 통합되었습니다.
즉, 개발자는 더 이상 여러 코드 저장소에서 검색, 조각 모으기, 디버깅을 할 필요가 없고, 통합된 환경에서 전체 체인을 빌드, 디버깅, 배포할 수 있어 "유연한 모듈성"에서 "전체 생태계에서 구성 가능"으로 개발자 경험이 향상됩니다.
이후의 Polkadot SDK는 개발자와 생태계 커뮤니티로부터 폭넓은 인정을 받았습니다.
이는 Polkadot의 미래 체인 수준 혁신의 중추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개발자가 모듈 방식으로 자체 Appchains 또는 Rollup을 구축하는 것을 더 쉽게 해줍니다.
문서 시스템, API 구조, 빌드 도구가 완전히 통합되어 학습 곡선이 크게 단축되고 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Parity에게 있어 이러한 통합은 Polkadot 출시 이후 중요한 아키텍처 진화를 의미합니다. 전체 생태계에서 Polkadot SDK는 "멀티 체인 공존"에서 "멀티 체인 협업"으로의 진정한 전환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Substrate는 체인 생성의 자유를 제공하고, SDK는 생태계에 질서를 제공합니다.
SDK에서 REVM으로: EVM 네이티브화의 불가피한 결과
네이티브 EVM은 폴카닷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됩니다. REVM의 등장으로 폴카닷 SDK 기반 체인은 이더리움의 모든 기능을 쉽게 통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폴카닷이 더 이상 외부 EVM 호환 솔루션에 의존하지 않고, 이더리움 생태계의 핵심 실행 환경을 자체 시스템에 직접 통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폴카닷 생태계 초창기에는 각 파라체인에서 EVM 호환성을 독립적으로 처리했습니다. Moonbeam, Astar, Acala와 같은 체인은 Parity에서 제공하는 Frontier 프레임워크를 채택했는데, 이는 EVM 기능을 구현하는 모듈식 접근 방식입니다. 이 모델은 파라체인에 높은 유연성을 제공했지만, 엔지니어링 단편화를 초래하여 각 체인이 독립적으로 Frontier 모듈을 유지 관리하고, RPC 호환성을 관리하고, EVM 로직을 디버깅하고, 호환성 문제를 해결해야 했습니다.
Parity 팀은 EVM 엔진을 REVM으로 메인 SDK에 직접 내장하여 FRAME, Cumulus, XCM과 함께 핵심 모듈로 배치했습니다. EVM은 다양한 파라체인의 애드온과 호환되며 시스템 코어에 공식적으로 통합되어 Polkadot의 표준 기능이 되었습니다.
REVM은 Parity에서 Rust로 재작성되었으며 Polkadot SDK 아키텍처와 기본적으로 호환됩니다. REVM의 생성은 추가적인 호환성 계층이 아니라 시스템 수준의 통합입니다.
핵심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Rust 구현: 고성능, 메모리 안전, 다른 SDK 구성 요소와 완벽하게 통합됨
● 기본 통합: REVM은 Polkadot SDK에 직접 컴파일되므로 Frontier 애드온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통합된 개발자 경험: 전체 Ethereum 툴체인(Foundry, Hardhat, Ethers.js)과 호환되므로 개발자는 기존 Ethereum 툴을 "바로 사용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마이그레이션 비용 없음: Solidity 계약은 수정 없이 Polkadot 메인넷이나 모든 SDK 체인에 배포될 수 있습니다.
● 생태계 수준 통합: 모든 신규 체인은 기본적으로 EVM 실행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더 이상 Moonbeam과 같은 개별 프로젝트에 의존하여 호환성 진입점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는 EVM 계약의 배포 및 실행이 처음으로 Polkadot 메인넷 수준에서 기본 기능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REVM의 등장은 외부 경쟁의 결과가 아니라 SDK 통합의 필연적인 결과였습니다. 기반 모듈과 프로토콜이 완전히 표준화되면 EVM 호환성은 별도의 플러그인이 아닌 시스템 표준에 자연스럽게 통합될 것입니다. 또한 폴카닷이 실행 계층에서 이더리움을 진정으로 "흡수"하여 "호환성"에서 "네이티브"로 도약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2025년에 Parity는 전체 개발 프레임워크를 다시 작성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새로운 Polkadot SDK는 Substrate의 본질을 계승했을 뿐만 아니라 Ethereum의 EVM을 핵심으로 직접 컴파일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버전의 반복이 아니라 근본적인 철학의 재구성입니다.
폴카닷은 더 이상 이더리움과 호환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흡수하여 이더리움의 기본 구성 요소로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폴카닷이 현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었을 텐데, 그렇다면 왜 2025년에 SDK 전체를 다시 작성하고 EVM을 시스템 커널에 직접 넣는 위험을 감수해야 했는가 하는 것입니다.
서브스트레이트는 폴카닷의 핵심 개발을 담당한 Parity에서 처음 개발한 Rust용 모듈형 블록체인 개발 프레임워크입니다. 임의의 블록체인을 구축하는 데 사용되며, 합의, 스토리지, 네트워크, 런타임과 같은 핵심 모듈을 포함합니다. 폴카닷 네트워크의 기반이 되는 기술적 토대를 형성합니다.
2023년과 2024년 사이에 Parity는 Substrate, Cumulus(크로스체인 모듈), Polkadot 클라이언트를 Polkadot SDK(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라는 단일 저장소로 병합하여 개발 구조와 API 관리를 간소화했습니다.
이러한 통합을 통해 개발자는 단일 SDK 메인 저장소를 사용하여 체인 수준 모듈, 합의, 크로스체인, 노드, 자산 및 거버넌스에 대한 모든 개발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며, "동일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여러 프로젝트"에서 "통합 스택 통합 개발"로 프로세스가 전환됩니다.
현재 Polkadot SDK의 핵심 구성 요소:
앞으로 REVM은 EVM(Ethereum Virtual Machine) 호환성을 지원하는 가상 머신 백엔드 모듈로서 PolkaVM/PVM 생태계의 일부가 되어 , Pallet-Revive + ETH-RPC와 함께 "EVM 호환 솔루션"의 일부를 형성하게 됩니다.
Polkadot SDK 최신 버전에서는 REVM이 핵심 구성 요소(즉, 스마트 계약 실행 계층의 표준 모듈)에 명시적으로 통합되었습니다. 향후 모든 SDK 체인은 타사 애드온이나 호환 패키지 없이 REVM/EVM을 자동으로 지원합니다. "Polkadot 생태계에 네이티브 EVM 호환성을 제공한다"는 전략은 주요 코드베이스와 공식 개발 문서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Polkadot SDK의 핵심 기술
폴카닷 SDK는 단순한 "통합 저장소"가 아니라, 블록체인 생성 로직을 재정의하는 표준화된 프로토콜 스택입니다. 핵심 목표는 블록체인 구축, 업그레이드, 크로스체인 상호작용 및 거버넌스에서 "시스템 수준의 일관성"을 보장하여 개발자들이 복잡한 엔지니어링 구성에서 벗어나 비즈니스와 혁신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Polkadot SDK는 단순한 "체인 구축 프레임워크"가 아닌 지속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운영 체제에 가깝습니다.
공식 문서에서 강조하는 바와 같이 SDK는 모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모듈이 안전하게 협업하고, 리소스를 공유하고,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기판에서 Polkadot SDK까지: EVM이 Polkadot으로 "네이티브 시대"에 진입한 이유
Substrate 자체에는 EVM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대신 Frontier 저장소의 팔레트와 RPC 모듈을 통해 동적으로 통합됩니다. 모든 Substrate 체인(예: Moonbeam, Astar, Acala 등)은 이러한 모듈을 가져와야 합니다.
프론티어 노드는 RPC 인덱스 쿼리 기능을 충족하기 위해 추가적인 데이터 구조(이더리움 블록 해시, 트랜잭션 인덱스, 로그 등)를 유지하므로 순수한 Substrate 노드보다 더 높은 리소스 오버헤드가 발생합니다.
일부 개발자는 이를 "Substrate의 Ethereum 샌드박스"라고 부르는데, 이는 Substrate 환경 외부에서 전체 EVM 실행 및 저장 모델을 시뮬레이션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몇 가지 한계도 있습니다.
사용자 경험 세분화: Polkadot.js와 유사한 지갑은 Metamask와 결합해야 합니다. EVM/ERC20 및 Substrate 자산은 일반적으로 독립적으로 작동합니다(일부 프로젝트는 주소 매핑 및 맞춤형 프런트엔드를 통해 이를 완화하지만, 본질은 동일합니다).
리소스 소모가 높습니다. 노드는 EVM 관련 RPC에 대해 전용 인덱싱 및 블록 구문 분석을 수행해야 하므로 데이터와 저장소에 대한 부담이 커집니다(특히 ETH 스타일 블록/탐색기 등의 경우).
EVM 및 기판 모듈 분리: EVM 계약은 기판의 기본 팔레트를 직접 호출하거나 조작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로직 재사용/권한 관리가 더 복잡해지고 "샌드박스 효과"가 명백합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폴카닷의 파라체인 문빔(Moonbeam)은 기존 프론티어(Frontier) 기반에 EVM 호환성을 더욱 강화하여 통합했습니다. 문빔은 단순히 "프론티어와 통합"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프론티어를 광범위하게 재구축하고 Substrate와 긴밀하게 연동하여 EVM 팔레트, 이더리움 팔레트, 계정 관리, XCM 크로스 체인 합의 인터페이스를 메인 런타임에 내장하고, 기반 Substrate의 배포를 EVM 자산, 이벤트 및 거버넌스와 통합했습니다.
Moonbeam은 다중 매핑 및 브리지 팔레트 설계를 사용하여 EVM 주소를 Substrate 주소에 매핑하여 계정에서 자금을 이체하고, 자산을 관리하고, EVM과 Substrate 계층 간에 네이티브 팔레트를 원활하게 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이중 지갑" 간의 단절을 크게 완화합니다(개인 키 형식은 다르지만 대부분은 이중 서명과 자동 인식을 지원합니다).
Moonbeam 노드는 Ethereum JSON-RPC와 Substrate RPC를 외부 세계에 노출하여 개발자가 Metamask/Hardhat/tools 및 Polkadot.js/app을 사용하여 동일한 자산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러나 Moonbeam은 EVM 주소와 Substrate 주소 간의 매핑 브리지를 구현하지만, 기본 사용자 개인 키 유형과 서명 알고리즘(Ethereum secp256k1 및 Substrate sr25519/ed25519)은 항상 다릅니다. 모든 하드웨어 지갑이나 생태계 도구가 이중 체인 서명을 "자동으로 지원"하는 것은 아니므로,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호환성 문제가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부 고급 작업(특히 체인 기반 거버넌스, 위임 등)에는 전용 Substrate 지갑이 필요하며, 연결 환경은 여전히 순수한 EVM 체인보다 떨어집니다.
여러 자산 및 토큰(네이티브, ERC20, Substrate 자산)이 관련된 크로스체인 시나리오는 여전히 다양한 형태의 주소/ID, 승인 로직, 매핑 테이블을 관리해야 합니다. 개발 및 운영에는 여전히 유지 관리의 복잡성이 수반되며, 일부 체인 간 전송은 후처리를 위해 XCM 또는 브리지 프로토콜에 의존하여 동기화 지연이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EVM 계약은 거버넌스를 통해 업그레이드할 수 있지만, 업그레이드의 유연성과 액세스 제어는 Substrate 런타임 업그레이드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습니다. 극단적인 경우, 일부 자산 및 계약 상태의 마이그레이션에는 순수한 EVM 작업이 아닌 체인 수준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부인 성명
PaperMoon에서 제공하고 본 기사에 포함된 자료는 교육 목적으로만 제공됩니다. 본 자료는 재무 또는 투자 자문을 구성하지 않으며, 어떠한 사업 결정에 대한 지침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투자 또는 사업 관련 결정을 내리기 전에 독자는 독립적인 조사를 수행하고 전문가와 상담할 것을 권장합니다. PaperMoon은 본 기사의 내용을 바탕으로 취해지는 어떠한 조치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더 읽어보세요
- 核心观点:Polkadot SDK重构为统一开发框架。
- 关键要素:
- 合并Substrate等核心组件为单一代码库。
- 内置REVM实现原生EVM兼容。
- 标准化模块接口提升开发效率。
- 市场影响:降低多链开发门槛,增强生态协同。
- 时效性标注:中期影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