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저자: Solaire, YBB Capital

과거에는 블록체인의 체인 리스트 구조의 한계로 인해 체인 위에 실용적인 DApp을 구축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에도 불구하고 탐험가들은 전진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유명한 상수 제품 풀 공식 x * y = k의 탄생으로 단 몇 백 줄의 코드로 구성된 Uniswap이 DeFi를 이끌고 암호화폐 서사를 완전히 바꿔 놓았습니다. . 간단한 DApp은 개발자의 독창성으로 이러한 수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복잡한 DApp 애플리케이션은 어떻습니까? 예를 들어, 완전히 체인에 게임이나 소셜 플랫폼을 구축하시나요? 과거에는 이것이 터무니없는 아이디어였을 수도 있지만 오늘날 롤업이 확장성을 제공하면서 가능성이 미묘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첫 번째 수준 제목
풀체인 게임의 기원과 발전
풀체인 게임의 역사는 1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Mikhail Sindeyev는 Namecoin을 포크하여 세계 최초의 블록체인 게임 Huntercoin을 구축했습니다. Huntercoin은 2013년에 실험적인 프로토타입으로 시작하여 많은 저명한 bitcointalk.org 회원들의 지원을 받아 온라인에서 빠르게 컬트를 발전시켰습니다. 기술 애호가들의 비디오 게임 사랑을 활용하여 가장 인기 있는 Huntercoin 게시물은 380,000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 안타깝게도 2014년 2월 미하일 신데예프(Mikhail Sindeyev)가 뇌졸중으로 사망했고, Huntercoin 개발에도 난항을 겪었습니다. 2015년 토큰 HUC는 거의 0에 가까워졌습니다. 풀체인 게임의 첫 번째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다행히도 전체 체인 게임이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2020년, Gubsheep(Brian Gu), Alan Luo, SCOTT SUNARTO는 소설 삼체 문제: 어두운 숲에서 영감을 받아 동명의 MMORTS 우주 정복 게임 Dark Forest를 개발했습니다. 게임은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구축되었으며 모든 규칙과 논리는 스마트 계약에 기록됩니다. 즉, 모든 움직임은 온체인 트랜잭션이 포함된 풀체인 게임입니다. 게임 콘텐츠의 핵심 부분은 ZK-Snarks(영지식 증명) 기술을 사용하여 전쟁의 안개를 만들어 삼체 소설에 나오는 어두운 숲의 법칙의 정의를 재현합니다(우주 문명이 발견되면 필연적으로 다른 우주 문명의 도전을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어두운 숲의 법칙에 영향을 받아 행동을 취하고자 할 때, 플레이어는 자신의 좌표를 공개할 수 없지만, A 오데일리에서 B 오데일리로 이동하려는 경우 A와 B의 좌표를 제출하여 이를 증명해야 합니다. 이는 유효하지만 에테르는 Fangfang의 블록 정보가 완전히 투명하며, Dark Forest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정보 은폐를 구현합니다. 플레이어는 떠날 오데일리와 목적지 오데일리를 선택하며, 이 두 오데일리의 위치는 플레이어의 개인 정보입니다. 떠나는 오데일리의 해시와 가려는 오데일리의 위치를 계산하고 두 해시를 모두 블록체인에 제출합니다. 이 단계에서 플레이어는 약속을 제출하게 됩니다.(커밋 단계) 해시 함수의 단방향 특성으로 인해 이러한 제출의 해시 값은 플레이어의 실제 행성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다음 단계는 검증(공개 단계)으로, 플레이어는 자신의 행동이 유효하다는 영지식 증명을 생성하고 제출합니다. 이 증거는 누구나 확인할 수 있지만 플레이어의 Odaily 위치에 대한 정보는 공개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해서 정보가 투명한 이더리움에 정보를 숨기는 최초의 풀체인 게임이 탄생했습니다. 이 정신없고 사려 깊은 실험은 암호화폐계 전체에 빠르게 센세이션을 일으켰습니다. Vtalik(이더리움 창시자)은 이 게임을 리트윗하고 칭찬하기도 했습니다. 트위터에서 직접.
그러나 '다크 포레스트' 첫 출시 이후 1만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유입되면서 딜레마가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이더리움의 성능은 이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을 뒷받침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게임이 출시된 날 전체 블록체인이 직접 차단되었으며, 수조 달러의 가스가 소비되었습니다. 그리고 게임은 DeFi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러리와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이후 단계의 추가 최적화는 고통을 완화할 뿐 문제를 해결하지는 않습니다.
ZK-Snarks에 대한 이 실험의 전망에 영감을 받아 전체 체인 게임의 곤경에 대해 생각한 게임 창립자 Brian Gu는 영지식 증명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ZK-Snarks 연구소로 0 x PARC를 만들었습니다. x PARC Lattice의 또 다른 지점은 풀체인 게임 엔진 MUD의 설계 및 유지 관리를 담당합니다. 또 다른 창립자인 SCOTT SUNARTO는 풀체인 게임 실행 전용 샤딩 롤업 프레임워크인 World Engine을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첫 번째 수준 제목
Autonomous Worlds
0 x PARC 암호화된 게임 논문 컬렉션 Autonomous Worlds의 관점을 기반으로 풀체인 게임은 최소한 5가지 표준을 따라야 합니다.
l 데이터는 블록체인에서 제공됩니다.블록체인은 단순한 데이터의 2차 저장소도 아니고, 단지 전용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도 아닙니다."미러 이미지". 자산 소유권과 같은 데이터뿐만 아니라 모든 의미 있는 데이터는 블록체인에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게임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블록체인의 장점, 즉 투명한 데이터 저장 및 무허가 상호 운용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l 논리와 규칙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구현됩니다.예를 들어, 소유권뿐만 아니라 게임 내 전투도 온체인에서 진행됩니다.
l 게임 개발은 개방형 생태학의 원칙을 따릅니다.게임 계약과 액세스 가능한 게임 클라이언트는 모두 오픈 소스입니다. 제3자 개발자는 플러그인, 제3자 클라이언트 및 상호 운용 가능한 스마트 계약을 통해 자신의 게임 경험을 완전히 재배포하거나 사용자 정의하거나 포크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게임 개발자는 전체(인센티브 조정) 커뮤니티의 창의적인 결과물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l 게임은 체인에 영구적으로 저장됩니다.이 점은 위의 세 가지 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게임이 암호화된 네이티브 게임인지 여부를 테스트하는 시금석은 '핵심 개발자가 제공한 클라이언트가 내일 사라져도 게임을 계속 플레이할 수 있는가'이기 때문입니다. 대답은 '예'인 경우가 많습니다. 게임 데이터 저장소가 무허가인 경우, 게임 로직이 허가 없이 실행될 수 있는 경우, 커뮤니티가 핵심 팀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지 않고 핵심 스마트 계약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경우
l 게임은 우리가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것들과 상호 운용될 수 있습니다.블록체인은 가치 개념 자체에 대한 기본 API를 제공하며 디지털 자산은 기본적으로 우리가 관심을 갖는 다른 자산과 상호 운용 가능합니다. 이는 게임의 깊이와 의미를 반영하고 강화하며, 게임 세계와 게임 세계를 연결합니다."현실"세상은 연결됩니다.
이 표준을 기반으로 구축된 풀체인 게임은 하위 계층인 블록체인 기반의 세계, 즉 Autonomous Worlds(자율 세계)로 간주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세상은 무엇입니까? 세계는 단지 현실 세계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소설, 영화, 게임, 시, 심지어는 법률 시스템도 세계를 담는 주체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에서는 센터(저자, 개발자 또는 그룹)가 프레임워크와 규칙을 공식화하고 이를 우리에게 전달합니다. 이러한 세계의 자율성 정도도 다릅니다. 예를 들어, 오픈 월드 게임에서 매우 잘 알려진 Minecraft(My World)에서 플레이어는 매우 높은 수준의 자율성을 갖습니다. 규칙에 따라 플레이어는 자신만의 세계만 만들 수 있습니다. 자율성이 낮은 세계는 '해리포터'와 같은 새로운 세계일 수도 있고, 우리가 보는 마법의 세계는 JK 롤링이 만들어낸 규칙과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다.
블록체인이 세상의 기반으로 사용된다면 블록체인은 모든 노드 엔터티의 컬렉션을 해당 상태에 명확하게 저장합니다. 또한 컴퓨터 코드에서 가져오기 규칙을 공식적으로 정의합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세계에서는 주민들이 합의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새로운 실체가 소개될 때마다 동의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운영합니다.
세계적 관점에서 정의해야 할 두 가지 블록체인 개념이 있습니다.
l 블록체인 상태 루트: 상태 루트는 세계의 모든 엔터티를 압축한 것입니다.
상태 루트를 사용하면 어떤 엔터티가 가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세계의 상태 루트를 믿는 것은 세계 자체를 믿는 것과 같습니다. 0x411842e02a67ab1ab6d3722949263f06bca-20c62e03a99812bcd15dce6daf26e는 2022년 7월 21일 오후 7시 30분 10초(UTC)에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세상인 이더리움의 상태 루트입니다. 이 상태 루트를 계산할 때 Ethereum 세계의 모든 엔터티가 고려됩니다. 이는 특정 시간에 해당 세계의 전체 내용을 나타냅니다.
l 블록체인 상태 전이 기능: 각 블록체인은 상태 전이 기능을 정의합니다.
이는 명시적인 가져오기 규칙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것은 정의한다"세계"시스템의 이전 상태(가상 엔터티 모음)가 인간과 기계 입력을 통해 새로운 가상 엔터티를 도입하는 방법입니다. 비트코인의 경우 상태 전환 기능은 잔액이 주소 간에 어떻게 사용되고 전송되는지 정의합니다.
첫 번째 수준 제목
딜레마를 만들어냈다
풀체인 게임을 위한 새로운 디자인을 탐색하는 초기 과정에서 개발자는 DeFi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위한 기존 DApp 아키텍처 및 라이브러리의 한계로 인해 반복적으로 영향을 받았습니다. Dark Forest 및 기타 초기 풀체인 게임 구성은 당시 DeFi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는 데 사용된 아키텍처와 라이브러리를 따라야 했으며, 이러한 아키텍처는 당시 풀체인 게임을 빌드하기 위한 기본 선택이 되었습니다.
풀체인 게임을 만드는 초기 모델은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l 서로 다른 계약이 동일한 상태에 닿는 경우:여러 스마트 계약이 동일한 데이터나 상태를 수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데이터 불일치 또는 기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다이아몬드 패턴을 사용하여 해결합니다(다이아몬드 패턴은 Solidity 스마트 계약의 다중 상속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l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작성합니다.각 유형의 엔터티(예: 게임 속 군인, 행성 등)에는 고유한 데이터 구조와 유형이 있습니다.
l Getters 함수를 작성합니다.이는 체인에서 초기 상태 또는 데이터를 가져오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에 대한 요소 배치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예를 들어, getPlanets() 함수는 모든 행성 목록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
l 이벤트:각 데이터 구조에는 새 블록이 체인에 추가될 때 애플리케이션이 상태를 동기화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계약의 특정 기능인 이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행성이 생성되면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으며 앱은 이 이벤트를 수신하고 표시되는 행성 목록을 업데이트합니다.
보조 제목
세상의 창조자 - MUD 엔진

MUD 엔진의 탄생은 개발자들의 과거와 기존 문제에 대한 고민에서 비롯되었으며, MUD는 이더리움 애플리케이션의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입니다. MUD는 데이터와 로직을 구성하기 위한 몇 가지 규칙을 제공하고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 기능에 집중할 수 있도록 낮은 수준의 복잡성을 추상화합니다. 데이터가 체인에 저장되는 방식을 표준화합니다. 이 표준 데이터 모델을 통해 MUD는 계약 및 클라이언트 상태를 동기화하기 위한 모든 네트워킹 코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최신 버전의 MUD에는 현재 5가지 구성 요소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l 저장: 온체인 데이터베이스;
l World: 표준화된 액세스 제어, 업그레이드 및 모듈을 제공하는 진입점 프레임워크입니다.
l 도구: Foundry 기반 초고속 개발 도구
l 클라이언트 데이터 저장: 체인의 상태를 마법처럼 반영할 수 있습니다.
보조 제목
EVM의 완전한 호환성, 극도로 높은 자유도
MUD의 다양성은 이더리움 메인넷에만 국한되지 않고 언어가 이를 지원하는 한 MUD는 Polygon, Arbitrum, Optimism 또는 Gnosis Chain 등 모든 EVM 호환 체인에서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보조 제목
주요 아이디어
체인의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된 고도로 협력적인 라이브러리 및 도구 세트로서 MUD는 세 가지 핵심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l 모든 온체인 상태는 MUD 체인의 데이터베이스 Store에 저장됩니다. Store는 테이블, 열 및 행의 개념을 갖는 SQLite 데이터베이스와 유사한 내장형 EVM 데이터베이스입니다. Store를 사용하면 보다 구조화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으며 Solidity 컴파일러에서 제공하는 저장 방법에 의존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런타임 시 테이블 생성을 지원하고 후크를 등록하여 자동으로 인덱싱된 뷰를 생성할 수 있어 유연성이 향상됩니다.
l 로직은 상태 비저장이며 사용자 지정 권한을 사용하여 다양한 계약으로 분할됩니다."World"다양한 스마트 계약 쌍을 조정하는 진입점 역할을 합니다."Store"입장. World가 배포되면 Store가 생성되고 Store의 각 테이블은 특정 네임스페이스에 등록됩니다. 기능(예: 주소 간 자금 이체 로직)이 World에 추가되면 네임스페이스에도 등록되어 System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실제로 스마트 계약이지만 기존 스마트 계약과 달리 상태가 없으며 데이터를 직접 보유하지 않습니다. 대신 World Store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읽고 씁니다. 이러한 설계로 인해 이러한 시스템은 동일한 체인에 배포되는 한 서로 다른 세계 간에 재사용될 수 있습니다.
l 인덱서나 하위 그래프가 필요 없으며 프런트 엔드도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Store(및 확장된 World)를 사용할 때 체인의 데이터가 자동으로 검사되고(내부 검사, 자체 검사) 모든 변경 사항이 표준 이벤트를 통해 방송됩니다. 통과하다"MODE"보조 제목
족쇄를 뚫고 나가다
세 가지 핵심 아이디어를 통해 과거의 딜레마를 예로 들어 MUD가 어떻게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의 족쇄를 깨는지 살펴보겠습니다.
l 다른 계약이 동일한 상태에 닿을 때: 다음을 사용하여"World"그리고"Store"체인의 상태를 중앙에서 관리하는 구조입니다. 모든 스마트 계약(MUD에서는 시스템이라고 함)은"World"액세스하고 수정하려면"Store". 이렇게 하면 모든 상태 수정이 중앙 집중식 진입점을 통과하여 데이터 불일치나 충돌의 위험이 줄어듭니다. MUD는 네임스페이스와 경로를 통해 데이터에 대한 세분화된 액세스 제어를 제공합니다. 서로 다른 시스템은 서로 다른 권한을 가질 수 있으므로 승인된 시스템만 특정 데이터나 상태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l 데이터 구조: 기존의 Solidity 저장 방식인 MUD와는 다릅니다."Store"SQLite와 유사한 테이블, 열, 행의 개념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보다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각 엔터티 유형(예: 게임의 군인, 행성 등)에는 고유한 테이블이 있을 수 있으며, 각 테이블에는 엔터티의 다양한 속성을 저장하는 여러 열이 있을 수 있습니다.
l 게터 기능: MUD로 인해"Store"구조화된 데이터 저장소를 제공하여 데이터 수집을 더욱 쉽고 직관적으로 만듭니다. 개발자는 SQL과 유사한 쿼리 언어를 사용하여 특별한 getter 함수를 작성하지 않고도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든 행성을 얻으려면 개발자는 getPlanets() 함수를 작성하지 않고 간단히 행성 테이블을 쿼리하면 됩니다.
l 이벤트: MUD는 자동 검사를 제공합니다. 즉, 모든 데이터 변경 사항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인식되고 해당 이벤트가 트리거됩니다. 애플리케이션은 각 데이터 구조에 대한 이벤트를 수동으로 정의하지 않고도 이러한 이벤트를 수신하여 상태를 동기화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수준 제목
세상을 달리다, 월드엔진
풀체인 게임의 운영은 항상 이더리움에게 큰 도전이었으며, 롤업의 급속한 발전과 칸쿤 업그레이드의 접근으로 향후 비용은 크게 절감되고 속도는 크게 향상될 것입니다. 풀체인 게임은 준비가 되어 있지만, 현재 주류인 롤업은 기본적으로 거래용으로 설계되었으며, 풀체인 게임에 딱 맞는 롤업은 없습니다.
보조 제목
풀체인 게임에는 어떤 종류의 롤업이 필요한가요?
l 높은 처리량 및 높은 TPS: 더 빠른 트랜잭션 처리, 더 낮은 대기 시간, 더 나은 확장성;
l 확장된 읽기 및 쓰기: 대부분의 레이어 2는 높은 동시 처리를 위해 많은 수의 쓰기를 수행하도록 설계되었지만 게임은 플레이어의 위치를 얻으려면 읽어야 하므로 읽기와 쓰기가 똑같이 중요합니다.
l 수평 확장성 체인: 수평 확장성은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더 많은 노드와 리소스를 추가하여 시스템의 처리 용량을 늘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하면 Noisy Neighbor 문제(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엔터티의 활동이 다른 애플리케이션이나 엔터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리소스 경합 및 성능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l 유연성 및 사용자 정의: 유연성 및 사용자 정의 가능성으로 인해 상태 머신을 수정하고 게임 디자인에 적합하게 만드는 것이 편리합니다. 여기에는 게임 루프 보유, 자체 실행 등이 포함됩니다.
보조 제목
조각화 아키텍처
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팀은 2000년대 초반과 1990년대 후반을 되돌아보며 MMO와 같은 온라인 게임이 막 등장하던 시기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초기 온라인 게임에서는 상대적으로 제한된 서버 및 네트워크 기술을 사용하여 많은 플레이어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는 방법을 찾아야 했습니다."분열"이는 솔루션 중 하나이며 핵심 아이디어는 플레이어를 다양한 서버 또는 샤드에 배포하는 것입니다. 각 서버는 플레이어, 게임 맵 및 데이터의 일부를 독립적으로 호스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울티마 온라인(Ultima Online)은 샤딩 개념을 서버에 구현한 초기 MMORPG였습니다. 게임의 다양한 샤드는 다양한 가상 세계를 나타내며 각 샤드는 특정 수의 플레이어를 수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l 확장성: 플레이어를 다양한 샤드에 분산함으로써 더 많은 플레이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게임을 더 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l 로드 감소: 조각화는 단일 서버의 플레이어 수와 데이터 양을 줄여 서버의 로드를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l 혼잡 방지: 샤딩은 같은 지역에 있는 플레이어의 혼잡을 줄이고 보다 원활한 게임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l 지리적 위치 최적화: 플레이어를 가장 가까운 샤드에 할당함으로써 네트워크 지연을 줄이고 게임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개념을 World Engine에 어떻게 적용합니까? 과거의 많은 샤드 분류기와는 달리,"World Engine"디자인은 특정 요구에 더 적합합니다. 최적화 방향에는 처리량과 실행 시간이 포함됩니다. 효율적인 보장을 위해"Tick rate"(즉, 초당 업데이트 빈도) 및 기본적으로 동기화되는 블록 시간입니다. 설계의 목표는 효율적인 게임 경험이나 시스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트랜잭션이 빠르게 처리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정렬방식은 모든 거래를 일괄적으로 정렬하는 것이 아닌 부분정렬 방식을 채택한다. 이는 모든 거래가 다른 거래 후에 발생해야 한다는 요구 사항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정렬 부담을 줄여 높은 처리량과 빠른 블록 시간 요구 사항을 더 잘 충족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EVM 베이스 샤드(EVM 샤드)와 게임 샤드(게임 샤드)라는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가 있으며, EVM 샤드는 순수한 EVM 체인입니다. 그리고 진짜 비결은 게임 샤딩인데, 이는 본질적으로 고성능 게임 서버로 설계된 미니 블록체인이다. World Engine에는 원하는 대로 이 슬라이스를 사용자 정의할 수 있는 자체 구현 인터페이스가 있습니다. 구성된 샤드는 기본 샤드에 주입됩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Cosmos와 마찬가지로 표준 인터페이스 세트만 구현하면 됩니다. Cosmos에는 IBC 인터페이스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를 유사한 사양으로 통합하여 자체 샤딩을 World Engine 스택에 가져올 수 있습니다.
Cardinal은 World Engine의 첫 번째 게임 샤딩 구현입니다. 데이터 지향 아키텍처인 ECS(Entity-Component-System) 게임 아키텍처를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게임을 병렬화하고 게임 계산 처리량을 높일 수 있습니다. 초당 최대 20틱까지 구성 가능한 틱 속도가 있습니다. 여기 블록체인의 경우 초당 20블록입니다. 게다가 자체 인덱싱이므로 외부 인덱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첫 번째 수준 제목
결론: 체인 게임 전체에 대한 생각
풀체인 게임은 항상 아시아 암호화폐계에서 상대적으로 인기가 없는 방향이었지만, 스타크넷의 게임 엔진 Dojo의 출시와 OP Stack 기반 개념 증명 틱체인의 개발 시연으로 인해 풀체인 게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점차 더워졌습니다. 이 글의 범위는 전체 게임 체인 중 가장 강력한 생태학이기도 한 다크 포레스트(Dark Forest)에서 파생된 생태학입니다.
그 역사와 기술을 탐색해보면 Rollup과 DApp 역시 매우 높은 상한선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더 넓은 관점에서 보면 인프라의 개선은 단순히 게임이 아닌 다양하고 복잡한 아이디어의 구축과 발전을 뜻한다. 구현은 MUD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호작용은 보다 복잡한 Rollup 방식으로 통합될 것이며, 블록체인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풀체인 게임에서 시작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1. 원문:Modular Summit Day 1 (Galois Stage)번역:월드 엔진: 풀체인 게임용으로 설계된 샤딩 롤업 프레임워크
3.관련 독서
관련 독서
3.OPStack을 사용하여 풀체인 게임의 클록 사이클을 구축하는 방법
4.The future of on-chain gaming: 'The promise of MUD ECS eng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