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 경고: '가상화폐', '블록체인'이라는 이름으로 불법 자금 모집 위험에 주의하세요. — 은행보험감독관리위원회 등 5개 부처
검색
로그인
简中
繁中
English
日本語
한국어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BTC
ETH
HTX
SOL
BNB
시장 동향 보기

이더리움 DAT가 mNAV를 늘리기 위한 궁극적인 전략으로 자체 레이어 2 퍼블릭 체인을 구축하는 것이 적합할까요?

2025-11-15 11:00
이 기사는 약 12721자로, 전체를 읽는 데 약 19분이 소요됩니다
"암호화폐-주식 통합" 추세가 계속 진화함에 따라, "암호화폐 자산 재무 회사"라는 유형의 상장 기업이 업계에 등장하고 있습니다. 현재 상위 3개 기관 투자자는 총 416만 ETH를 보유하고 있으며, 무시할 수 없는 기관 세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I. 이더리움 재무 회사란 무엇인가요?

재무부채 회사는 본질적으로 상장 기업의 전략적 변혁의 한 형태입니다. 이 사업 모델은 마이크로스트레티지(MicroStrategy)가 개척했는데, 마이크로스트레티지는 비트코인을 핵심 자산 준비금으로 활용하여 자본 시장에 새로운 자산-부채 관리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영향을 받아 일부 상장 기업은 ETH, SOL, HYPE 및 기타 암호화폐를 자산 배분에 포함시켜 암호화폐 자산 관리 및 생태계 참여에 중점을 둔 기업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의 등장은 이더리움의 우수한 제도적 합의, 포괄적인 인프라, 그리고 비교적 명확한 규제 전망에 기인하며, 이로 인해 이더리움은 암호화폐 세계에 진출하는 전통 자본의 선호 대상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샤프링크와 비트마인처럼 이러한 변화를 겪고 있는 초기 단계 기업들은 이미 자본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지만, 이는 단순히 자산 가치 재평가가 아닌, 새로운 전략 방향과 그 기반이 되는 기술적 논리에 대한 시장의 철저한 검토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자산 규모 측면에서, 업계 데이터 플랫폼 Strategic ETH Reserve 의 통계에 따르면, 주요 이더리움 자산 관리 회사들은 이미 상당한 양의 ETH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앙화 거래소의 사용자 자산이나 이더리움 ETF의 수탁 규모와 비교했을 때, 더 넓은 생태계로 볼 때 이들의 규모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이들의 진정한 독창성은 ETH 보유량 관리에 대한 광범위한 자율성에 있으며, 이를 통해 자체 레이어 2 네트워크 구축과 같은 더욱 심층적인 생태계 참여를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II. 이더리움 재무 회사의 현황 및 운영 전략

2.1 이더리움 Treasury의 현재 상태

현재 이더리움 트레저리 기업들은 명확한 선도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자산 규모와 시장 영향력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Strategic ETH Reserve 플랫폼의 통계에 따르면, 2025년 10월 20일 기준 전 세계적으로 이더리움을 가장 많이 보유한 상위 3개 독립 기관은 모두 이더리움 트레저리 기업인 Bitmine, Sharplink, The Ether Machine입니다. 그중 업계 선두주자인 Bitmine은 283만 ETH[1]를 축적했으며, 막대한 자산 보유량은 자본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으며, 이는 안정적인 mNAV(조정 순자산 가치) 프리미엄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Sharplink(838,000 ETH 보유)와 The Ether Machine(496,000 ETH 보유)은 현재 비교적 적은 양의 ETH를 보유하고 있지만, 두 회사가 각각 설정된 ETH 보유 목표의 14%와 4%만 달성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이는 앞으로 보유량을 더욱 늘릴 엄청난 잠재력과 규모 확장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Ethereum Treasury Company의 ETH 보유 통계, 출처: Strategic ETH Reserve

이 논문은 이더리움 재무 회사의 틈새 시장을 보다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자산 보관의 더 넓은 맥락에 이들을 배치합니다. 핵심 참조로서, 가장 큰 중앙화 거래소인 바이낸스는 사용자를 대신하여 최대 413만 ETH를 보유하고 있습니다[2]. 자산 관리 대기업인 블랙록이 발행한 이더리움 ETF(ETHA)도 405만 ETH 이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3]. 비교해 보면, 현재 3대 재무 회사의 총 보유량은 ETH의 총 유통 공급량의 약 3%를 차지하는데, 이는 여전히 주요 CEX 및 ETF에 크게 뒤처져 있지만, 이들의 성장 모멘텀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됩니다. 기존 재무 회사들이 자본 시장 자금 조달을 통해 자산 보유량을 계속 늘리고 더 많은 상장 회사가 이러한 변화에 동참함에 따라 이더리움 재무 회사는 생태계에서 중요한 제도적 세력으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통합된 자본과 거버넌스 투표권은 향후 이더리움 네트워크 업그레이드와 같은 주요 결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무시할 수 없는 새로운 세력이 될 것입니다.

2.2 이더리움 Treasury의 현재 운영 전략

이더리움 재무부 회사는 자산 운용에 있어 더 큰 전략적 유연성과 주도성을 보여줍니다. 이더리움 ETF와 비교했을 때, 재무부 회사의 핵심적인 차이점은 ETH 보유 자산을 관리하는 데 있어 더 넓은 자율성을 갖는다는 것입니다. 상장 기업의 규제 준수 체계 내에서 재무부 회사는 시장 상황 및 수익 목표에 따라 스테이킹, 대출, 자체 노드 구축을 통한 MEV 보상 획득 등 다양한 자산 운용 전략을 적극적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선제적 운용 능력은 투자자에게 기초 자산의 가격 상승 외에도 추가적인 수입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재무부 회사 투자와 기존 ETF 투자 간의 수익 구조 및 위험 특성에 있어 근본적인 차이를 나타냅니다. 반면, 홍콩 시장에 출시된 스테이킹을 지원하는 이더리움 ETF조차도 자산 운용 전략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어서 재무부 회사처럼 유연하고 다층적인 포트폴리오 구성 및 수익 최적화를 달성하기 어렵습니다.

2.2.1 서약

스테이킹은 이더리움이 지분증명(PoS) 합의 방식으로 전환된 후 ETH 보유자가 네트워크 보안 유지에 참여하고 기본적인 보상을 획득하는 핵심 메커니즘입니다. 재무 회사가 자체 검증자 노드를 운영하지 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ETH를 제3자 서비스 제공업체에 위탁합니다. 주요 경로는 DeFi와 CeFi입니다. DeFi에서는 Lido와 같은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을 통해 stETH 인증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DeFi 생태계에서 보상을 축적하는 데 재사용될 수 있습니다. CeFi에서는 Coinbase 및 Binance와 같은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수탁형 스테이킹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운영 편의성과 기관 수준의 위험 관리가 장점이지만, 중앙 집중식 수탁 및 상대적으로 낮은 온체인 투명성이라는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주요 ETH 스테이킹 플랫폼 및 스테이킹 비율. 출처: 스테이킹 리워드

2.2.2 대출

대출은 재무 기관에 스테이킹에 대한 대안적인 수익원을 제공하며, Aave 및 Compound와 같은 온체인 프로토콜을 통해 구현됩니다. 기본적인 전략으로는 프로토콜에 ETH를 직접 예치하여 예치 이자를 받고 이자 발생 토큰을 생성하는 것, 또는 ETH를 초과 담보로 하여 스테이블코인을 차입하고 이를 다른 자산 배분이나 DeFi 활동에 활용하여 초과 수익을 추구하는 보다 적극적인 접근 방식이 있습니다.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스테이킹과 달리, 대출 금리는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므로 변동성이 더 큽니다. 대출 후 재투자하는 전략은 잠재적으로 더 높은 수익을 제공할 수 있지만, 추가적인 시장 위험과 청산 위험을 초래합니다.

Aave 대출 프로토콜의 ETH 대출 요율. 출처 : 아베

2.2.3 자체 구축 노드

자체 구축된 검증자 노드는 위임 스테이킹이나 대출보다 더 심층적인 자산 관리를 제공합니다. 재무 기관이 하드웨어 및 운영 자원을 투자하고 "자체 커스터디"를 통해 이더리움 네트워크 검증에 직접 참여해야 합니다. 각 검증자 노드는 32 ETH를 스테이킹해야 합니다. 자체 노드를 구축함으로써 기업은 표준 블록 보상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래 수수료를 직접 징수하고 채굴자 추출 가능 가치(MEV)를 확보하여 더욱 포괄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팀의 매우 높은 기술적 전문성을 요구하며, MEV 보상 채굴은 많은 어려움과 불확실성을 안고 있습니다.

III. 자산 보유에서 생태계 구축으로: 자체 구축 레이어 2로의 전략적 업그레이드

스테이킹은 현재 암호화폐 재무 기업들이 자산을 늘리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며, 이 방법은 시장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ETH를 보유한 이더리움 재무 기업들의 경우, 단순히 제3자 플랫폼을 이용하여 ETH를 스테이킹하고 대출하는 것은 ETH를 금융 자산으로 제한하고 이더리움 메인넷의 높은 확장성을 활용하지 못하여 전략적 기회를 놓치게 됩니다.

자체 이더리움 레이어 2 네트워크 구축은 Treasury Corporation에게 근본적인 전략적 도약을 의미합니다. 더 큰 자본 지출이 발생하겠지만, 이 결정의 핵심 가치는 회사를 암호 자산의 수동적인 "보유자"에서 블록체인 생태계의 적극적인 "구축자"로 전환하는 데 있습니다. 이러한 역할 변화는 회사의 기술 브랜드와 가치 창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치열한 시장 경쟁에서 독보적인 경쟁 우위를 구축할 것입니다.

3.1 전략적 포지셔닝: 재무 관리에서 생태계 리더십으로의 근본적인 전환

전담 레이어 2 네트워크 구축은 재무부가 자산 가치와 사업 영역을 탐색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진전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의 전략적 중요성은 단순한 재무적 수익을 넘어, 주로 세 가지 측면에서 드러납니다.

첫째, 자체 규칙에 따라 운영되는 온체인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회사는 생태계 지배력에서 획기적인 진전을 이루었으며, 더 이상 외부 퍼블릭 블록체인의 규칙 체계에 완전히 종속되지 않았습니다. 둘째, 이러한 변화는 가치 창출을 심화시켰습니다. 직접적인 가스 수수료 수익은 불확실하지만, 활기찬 생태계는 핵심 사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여 더욱 끈끈한 비즈니스 루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것 자체가 기술적 브랜드 가치를 강력하게 입증하는 사례입니다. 이는 회사의 기술적 선견지명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대중이 Treasury Company를 자산 운용 회사가 아닌 암호화폐 기반 회사로 인식하도록 돕습니다.

3.2 실현 가능성 기반: 이더리움 생태계 내 표준화 및 기술적 포용성

자체 레이어 2 블록체인을 구축하는 것은 이더리움 재무 회사에게 특히 매력적인 전략적 선택입니다. 이더리움 생태계 내에 이미 구축된 성숙하고 표준화된 기술 인프라가 근본적인 장점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비트코인 재무 회사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 지원 부족이라는 제약을 받으며, 자체 사이드체인을 구축하려면 매우 높은 기술적 장벽을 극복해야 합니다. 더욱이 SOL이나 SUI와 같은 자산을 배분하는 재무 회사는 각 퍼블릭 체인에 성숙하고 안정적인 레이어 2 솔루션이 부족하여 생태계 확장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더리움의 탄생 이후, 분산 자율 조직(DAO)은 레이어 2 네트워크 확장을 위한 여러 제안을 제시했습니다. 데이터 측면에서 EIP-4844는 블롭을 운반하는 거래 유형을 도입하여 레이어 2에 저렴한 데이터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거래 비용을 크게 줄였습니다[4]. 확장성 측면에서 EIP-7691은 각 블록의 블롭 용량을 확장하여 레이어 2의 처리량을 직접 향상시켰습니다[5]. 통신 측면에서 EIP-7683은 서로 다른 이더리움 레이어 2 간의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확립하여 체인 간에 자산을 거래할 때 사용자가 직면하는 낮은 네트워크 효율성 문제를 해결했습니다[6]. 이러한 핵심 제안은 레이어 2의 생성을 보다 표준화했고 레이어 2의 번영의 초석이 되었습니다.

더욱이 이더리움 생태계는 고도로 모듈화된 레이어 2 기술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특히 RaaS 서비스의 광범위한 도입은 기술 장벽을 크게 낮췄습니다. Conduit 및 Caldera와 같은 서비스 제공업체는 복잡한 블록체인 개발 프로세스를 구성 가능한 제품 솔루션으로 전환하여 Treasure와 같은 기업들이 대규모 블록체인 R&D 팀을 구성하지 않고도 자체 네트워크를 마치 빌딩 블록처럼 신속하게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기술 구현에서 생태계 운영으로 전략적 초점을 전환하여 진정으로 가벼운 시작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3.3 공식 지지: Vitalik은 Ethereum Layer 2 개발에 대한 지지를 거듭 표명했습니다.

이더리움의 창시자이자 이더리움 재단 이사회 이사인 비탈릭 부테린은 레이어 2 기술 로드맵의 개발 및 성장에 지속적으로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그는 레이어 2 솔루션의 핵심 가치는 이더리움 메인넷의 보안 보장을 계승할 수 있는 능력에 있다고 거듭 강조하여 다양한 레이어 2 네트워크의 보안에 대한 근본적인 지지를 제공했습니다. 비탈릭 부테린은 여러 중요한 경우에 특정 레이어 2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습니다. 예를 들어, 2022년 6월 그는 Optimism의 새로운 거버넌스 구조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며 OP 토큰을 통해 가스 수수료를 징수하는 메커니즘이 "토큰 비보유자의 이익을 고려한 것"이라고 단언하고 거버넌스 시스템에 대한 감사를 표했습니다[7]. 2025년 9월, 그는 Base를 "모범적인" 레이어 2 솔루션으로 더욱 칭찬하며, 사용자 친화성, 비수탁형 특성, 그리고 이더리움의 탈중앙화 보안 시스템과의 통합 측면에서 업계 기준을 제시했다고 평가했습니다[8].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널리 인정받는 권위 있는 인물인 Vitalik의 지속적인 인정은 이론과 실무 모두에서 레이어 2 개발자들에게 중요한 혁신 기반과 신뢰 기반을 제공해 왔습니다.

현재 기술 축적 부족으로 인해 이더리움 자산 관리 회사 중 레이어 2 네트워크를 독자적으로 구축하는 전략적 경로를 선택한 회사는 없습니다. 그러나 코인베이스, 도이체방크, 소니와 같은 미래 지향적인 업계 선도 기업들은 이더리움의 높은 확장성에 내재된 전략적 가치를 예리하게 인식하고 자체 레이어 2 솔루션 구축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선구자들의 사례는 시장이 자산 보유자에서 생태계 공동 구축자로 도약하는 명확한 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3.4 사례 연구: 미국 상장 기업인 코인베이스(Coinbase)는 자체 레이어 2 플랫폼을 구축했습니다.

Coinbase는 세계 최고의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중 하나이며, Base 네트워크는 "트래픽 중심" 플랫폼의 전형적인 예입니다. 2022년에 설립된 Base의 경영진은 Optimism의 OP Stack을 기술 로드맵으로 실용적으로 선택했습니다. 레이어 2 퍼블릭 체인 중 신생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Base는 현재 거래량, 활성 사용자, 총 잠금 가치(TVL) 등 여러 측면에서 모든 레이어 2 네트워크 중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9]. Base의 성공은 주로 두 가지 핵심 요인에 기인합니다. 첫째, Coinbase는 자사의 거래 플랫폼에서 대규모 사용자 기반을 체인으로 가져와 Base 플랫폼에 처음부터 탄탄한 사용자 기반을 제공했습니다. 둘째, Aave, UniSwap, Compound와 같은 성숙한 이더리움 DeFi 애플리케이션 또한 Base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매우 우수한 거래 경험을 제공하며, 이는 퍼블릭 체인을 처음부터 구축하고 생태계를 처음부터 개발하는 것보다 훨씬 편리합니다.

기본 네트워크의 TVL별 상위 10개 프로토콜(2025년 10월 29일 기준 데이터), 출처: Defillama

3.5 사례 연구: 소니가 자체 구축한 레이어 2 플랫폼인 Soneium .

코인베이스만큼 방대한 트래픽을 보유하지 못한 대부분의 금융 회사들에게 소니의 Soneium Layer2는 더욱 효과적인 "자원 통합" 접근 방식을 보여줍니다. 2023년 8월, 소니는 이더리움 Layer2 네트워크인 Soneium을 출시했으며, 게임 업계에서 쌓아온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Sleepagotchi LITE, Farm Frens 등 여러 블록체인 게임을 출시했습니다. 2025년 10월 29일 기준, Soneium 네트워크의 활성 사용자 수는 약 7만 명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시장 점유율은 약 1.5%입니다[10].

이 사례는 게임 IP, 공급망 네트워크, 사용자 커뮤니티 등 기존 기업의 기존 리소스를 완전히 재활성화하고 온체인에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즉, Sharplink(스포츠 게임)와 Bitmine(비트코인 채굴)과 같은 기업은 기존 고객 및 공급업체 네트워크를 자체 구축한 레이어 2 인프라에 연결하여 매우 효율적이고 협력적인 가치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Soneium 네트워크 활성 사용자(2025년 10월 29일 기준 데이터), 출처: tokenterminal

IV. 이더리움 재무 회사의 자체 Layer2 구축 가능성

현재 이더리움 재무 기업들의 경우, 기존 사업이 이더리움 네트워크 개발과 관련성이 거의 없으며 기술 개발자 풀도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레이어 2를 신속하게 구축하기 위해 RaaS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이더리움 레이어 2 개발을 위한 기술팀을 구성하는 것보다 단기적으로 훨씬 비용 효율적입니다. 암호화폐 업계의 여러 기업들이 Raa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Conduit, Caldera, AltLayer는 현재 시장을 선도하는 RaaS 서비스 제공업체입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모듈형 블록체인의 가장 중요한 세 가지 측면인 실행 계층, 결제 계층, 그리고 디지털 자산(DA) 계층을 포괄하는 다양한 옵션을 이더리움 레이어 2 구축을 필요로 하는 기업들에게 제공합니다.

Caldera를 사용하여 Ethereum Layer 2 페이지를 빠르게 구축하세요. 이미지 출처: Caldera

Conduit을 사용하면 Ethereum Layer 2 페이지를 빠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Conduit)

4.1 RaaS 플랫폼 분석

서비스형 롤업(RaaS)은 새로운 개념이 아니며, 2024년에 광범위한 시장 논의를 불러일으켰습니다. 2025년에 접어들면서 이 분야는 점진적으로 성숙해졌으며, 신규 진입 업체의 현저한 감소와 더욱 안정적인 시장 구조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현재 주류 RaaS 제공업체 중 Altlayer와 Lumoz는 주로 테스트넷 구축에 주력하는 반면, 메인넷 구축의 경우 대부분의 퍼블릭 체인은 여전히 더 성숙한 기술을 보유한 Conduit과 Caldera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서비스 아키텍처 관점에서 Conduit과 Caldera는 모두 모듈형 블록체인 기술 분야에서 오랜 경험을 보유하고 있지만, 가격 모델과 기술 솔루션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Conduit 의 가격은 월 5,000달러로 Caldera 의 월 3,000달러보다 상당히 높습니다. 이러한 가격 차이는 두 회사의 서비스 내용과 성능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여줍니다.

기술 스택 지원 측면에서 Conduit은 OP Stack, AggLayer CDK, Arbitrum Orbit 등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반면, Caldera는 Arbitrum Orbit과 ZK Stack을 주로 지원합니다. 데이터 가용성 계층(DA)과 관련하여 두 업체 모두 이더리움과 셀레스티아를 표준 솔루션으로 지원합니다.

Caldera는 비용 측면에서 확실한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Conduit의 높은 가격은 더욱 다각화된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제공합니다. 첫째, 가스 토큰 구성과 관련하여 Conduit은 모든 ERC-20 토큰을 퍼블릭 체인의 네이티브 가스 토큰으로 지원하여 프로젝트가 거버넌스 토큰을 발행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Caldera는 현재 ETH, DAI, USDT와 같은 주류 토큰만 지원합니다. 둘째, 성능 측면에서 Conduit 서비스를 사용하는 퍼블릭 체인은 거래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높지만, 이론적인 TPS(초당 거래 처리량)는 Caldera 솔루션보다 우수하여 고성능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더 적합합니다. 마지막으로, 탈중앙화 측면에서 Conduit은 EigenLayer 정렬기를 통합하여 더 높은 수준의 탈중앙화를 달성하는 반면, Caldera는 여전히 중앙 집중식 정렬 아키텍처를 사용합니다.

RaaS 플랫폼 성능 및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 이미지 출처: dysnix

4.2 모듈형 블록체인 성능 분석(실행 계층, DA 계층, 결제 계층)

이더리움 재무 기업의 경우, 경량 레이어 2 구축을 위한 RaaS 플랫폼을 도입하는 것은 비용 효율적인 기술 선택일 뿐만 아니라 중요한 전략적 가치를 지닙니다. 이 모델은 기업이 자체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대신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며, 시행착오 비용과 초기 투자를 절감하면서 신속한 온체인 비즈니스 출시를 가능하게 하고, 사업 개발에 따라 유연한 전략 조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재무 기업이 온체인 비즈니스를 처음 탐색할 때 이상적인 솔루션입니다. 위 Caldera 페이지에서 볼 수 있듯이, RaaS 서비스에서 개발자는 실행 계층, 데이터 가용성 계층, 결제 계층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러한 선택은 퍼블릭 체인의 전반적인 효율성, 보안 및 생태계 호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재무 기업의 경우, 의사 결정권자는 모듈식 블록체인을 구축할 때 성능과 비용 간의 균형을 맞춰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 분석에서는 각 계층을 자세히 살펴보고 다양한 솔루션의 장단점을 비교하며, 성능 지표(TPS, 비용, 보안 모델 등),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 잠재적 위험, 전략적 고려 사항을 포함한 심층 분석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이더리움 재무 회사가 자사의 특정 비즈니스 요구 사항에 가장 적합한 배포 솔루션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4.2.1 실행 계층 분석

실행 계층은 모듈형 블록체인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차별화되는 부분으로, 주로 거래 처리 및 상태 업데이트를 담당합니다. 현재 주류 롤업 서비스는 OP 롤업과 ZK 롤업, 두 가지 주요 범주로 나뉩니다. OP 롤업은 사기 방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이의가 제기되지 않는 한 거래가 유효하다고 가정하는 반면, ZK 롤업은 유효성 증명을 사용하여 거래의 정확성을 직접 검증합니다. 이 두 가지 메커니즘은 보안, 속도 및 호환성 측면에서 상충 관계를 갖습니다.

  • OP Stack : 가장 대중적인 Optimistic Rollup 프레임워크로서, 낮은 배포 임계값과 극도로 높은 EVM 호환성을 장점으로 가지고 있어 생태계를 빠르게 출시하는 데 적합하지만, 약 7일간의 사기 방지 기간으로 인한 최종성 지연을 감수해야 합니다[11].
  • Arbitrum Orbit : Arbitrum 생태계를 기반으로 하는 OP Rollup 솔루션입니다. 가장 큰 장점은 Arbitrum 메인넷과 긴밀하게 통합되어 유동성과 사용자 기반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전반적인 성능은 메인넷의 상태에 따라 제한됩니다[12].
  • ZK Sync : 영지식 증명 기술을 사용하는 ZK Rollup 솔루션은 즉각적인 확정성과 강력한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제공합니다. 성능은 우수하지만, 기술적 복잡성과 하드웨어 요구 사항이 높고, 배포 임계값이 OP 솔루션보다 상당히 높습니다[13].
  • AggLayer(Polygon CDK 코어) : Polygon의 크로스체인 조정 계층으로서, 여러 ZK 체인을 통합하여 유동성 공유 및 저지연 결제를 구현합니다. 확장성과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지만, 시스템 안정성은 통합 네트워크의 신뢰성에 따라 달라집니다[14].

4.2.2 DA 계층 분석

실행 계층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옵션과 비교했을 때, 데이터 가용성 계층(DA)의 옵션은 상대적으로 집중되어 있으며, 핵심적인 차이점은 별도의 DA 솔루션 도입 여부에 있습니다. 기존의 2계층 솔루션은 데이터 가용성 보장을 위해 이더리움 메인넷에 의존하기 때문에 높은 비용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콜데이터 수수료(데이터 액세스 비용)가 전체 거래 비용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별도의 DA 계층은 전용 데이터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 및 가용성 샘플링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주류 독립 DA에는 Celestia, EigenDA 및 Near DA가 포함됩니다.

  • 셀레스티아는 전체 노드 검증 없이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 가용성 샘플링(DAS) 메커니즘을 사용합니다. 높은 처리량(GB 단위 데이터 블록 지원)과 낮은 비용이라는 장점이 있으며, 모듈형 설계를 통해 2025년까지 다중 체인 통합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 EigenDA : EigenLayer의 확장 기능으로, 재스테이킹 메커니즘을 결합하여 공유 보안을 제공합니다. 더 높은 처리량(최대 10배의 ETH TPS)과 더 낮은 비용을 제공하지만, EigenLayer의 스테이킹 생태계에 의존합니다.

이러한 독립형 데이터 제공자(DA)는 Movement Labs가 DA 계층으로 Celestia를 선택한 것처럼 모듈식 레이어 2의 주류 선택이 되었습니다. 이는 DA를 실행에서 분리하여 전체 비용을 절감하고(평균 60-90% 감소[15]) 확장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입니다(예: Celestia의 블롭 스토리지 최적화). 이더리움의 기본 DA와 비교할 때 독립형 솔루션은 처리량을 몇 배나 높여 데이터 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데이터 가용성 공격(샘플링 실패 시)과 중앙 집중화 경향(소수 검증자가 주도)이 위험 요소입니다. 전략적으로 프로젝트에서 비용 최적화와 독립성을 우선시하는 경우 독립형 DA를 우선시해야 합니다.

이더리움과 독립형 디지털 자산 계층 간 성능 비교. 출처: Forsight News

4.2.3 침하층 분석

결제 계층은 최종 합의 및 상태 루트 커밋을 담당하며, 일반적으로 이더리움 메인넷의 강력한 보안(PoS 합의, 시가총액 고정)에 의존합니다. 선택지는 제한적이지만, 전략적 의미는 매우 큽니다.

  • 이더리움 메인넷은 결제 계층 역할을 합니다 . 이는 퍼블릭 체인이 이더리움의 탈중앙화 및 보안을 계승하도록 보장하는 표준 레이어 2 솔루션입니다. 이더리움 메인넷의 장점은 ETH에 전략적으로 앵커링되어 파편화를 방지한다는 점입니다. 단점으로는 높은 결제 수수료(배치당 수백 달러)와 지연 시간(분에서 시간)이 있습니다.
  • Arbitrum 또는 Base를 결제 계층으로 사용하는 방식 : 이는 상위 체인의 결제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자체 구축된 체인을 2계층에서 3계층으로 다운그레이드합니다. Base의 Coinbase 통합, 빠른 연결 등 높은 편의성을 제공하지만, 전략적으로 "ETH에 앵커링"한다는 원래 의도에서 벗어나 상위 체인의 거버넌스에 의존하게 되어 추가 수수료와 종속성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메인넷의 레이어 2 결제는 보안을 극대화하며 장기적 가치 고정을 추구하는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 레이어 3으로 전환하면 편의성(예: Arbitrum의 거버넌스 도구)을 제공하지만 자율성이 약화될 수 있으며 상위 체인 시스템의 실패가 연쇄적으로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섹션 4.2.4

현재 모듈형 이더리움 레이어 2 기술 스택 선택은 명확한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주류 솔루션은 일반적으로 "실행 계층으로 OP 스택/ZK 스택 + 데이터 가용성(DA) 계층으로 셀레스티아 + 결제 계층으로 이더리움"의 모듈형 조합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각 모듈의 핵심 장점에서 비롯됩니다. 높은 처리량과 이더리움 메인넷보다 훨씬 낮은 DA 비용을 제공하는 셀레스티아는 데이터 가용성 측면에서 선호되는 선택지가 되었습니다. 반면, 탁월한 탈중앙화 및 네트워크 합의 보안을 갖춘 이더리움 메인넷은 결제 계층에서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하며 베이스(Base) 및 아비트럼(Arbitrum)과 같은 다른 레이어 2 네트워크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실행 계층 수준에서 기술 선택은 퍼블릭 체인의 차별화된 포지셔닝에 따라 달라집니다. 높은 EVM 호환성과 빠른 생태계 프로토콜 마이그레이션을 우선시하는 경우 OP 스택이 적합하며, 극한의 거래 속도와 기본 개인 정보 보호 기능이 강조되는 경우 ZK 스택이 더 나은 선택입니다. 요약하자면, 이더리움 트레저리는 레이어 2 네트워크에 대한 특정 위치 지정 및 개발 전략에 따라 위의 모듈식 솔루션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4.3 자체 구축 레이어 2 구축의 비용 및 편익 분석

가스 수수료 수익 모델 관점에서 볼 때, 블록체인 거래 수수료는 거래 금액과는 무관하며, 거래 복잡성 및 네트워크 상태와만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체 구축한 체인 지갑을 통해 100달러를 이체하든 10,000달러를 이체하든 기본 가스 비용은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이 모델을 기반으로 Caldera 의 RaaS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월 고정 비용은 3,000달러입니다. 거래당 0.02달러의 수수료를 가정할 때, 체인은 손익분기점을 맞추기 위해 매달 150,000건의 거래를 완료해야 합니다. Conduit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월 수수료는 5,000달러입니다. 거래당 수수료는 0.03달러로 약간 높지만, 기본 비용을 충당하려면 여전히 매달 약 166,000건의 거래가 필요합니다.

월 15만 건의 거래는 하루 5,000건의 거래로 환산됩니다. 이 목표는 Treasury와 같은 신규 레이어 2 네트워크에게는 여전히 어려운 과제입니다. Treasury의 성공 여부는 기존 사업의 사용자 기반과 거래 빈도에 크게 좌우됩니다. Base와 Arbitrum과 같은 성숙한 레이어 2 네트워크는 좋은 참고 자료가 됩니다. 두 퍼블릭 체인 모두 8월에 일일 거래량 100만 건을 훌쩍 넘어섰으며[16],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 압박을 감당했습니다.

사업적 관점에서 볼 때, 이더리움 재무 회사의 고객 기반이 주로 소규모 기업이나 초소규모 기업 또는 개인 소비자로 구성되어 있다면, 높은 거래 빈도와 분산된 행동 패턴으로 인해 대규모 거래가 쉽게 누적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harplink의 주요 사업은 온라인 스포츠 게임으로, 주로 개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이미 상당한 활성 플레이어 기반을 확보했다면, 게임을 블록체인으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자체 레이어 2 플랫폼을 구축하며 사용자가 온체인에서 거래를 완료하도록 지원할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는 월 거래량이 15만 건을 초과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합니다. 반대로, 기업 고객이 주로 대규모 그룹이나 정부 기관인 경우, 거래 빈도는 낮고 거래량이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블록체인 전환을 완료하더라도 고빈도 거래 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이러한 이더리움 재무 회사의 경우, 기존 고객 기반에 의존하여 자체 레이어 2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합니다. RaaS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개별 사용자 기반을 확장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주요 공개 블록체인의 일일 거래량 추세 차트, Mark Research가 자체적으로 만든 표(Artemis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시 작성).

V. 이더리움 재무 회사가 자체 레이어 2를 구축하는 데 따른 위험과 과제

5.1 이더리움 재무 회사의 상류 및 하류 지불을 위한 블록체인 사용 과제

자체적으로 완성된 레이어 2 블록체인을 구축한다는 개념은 재무 회사가 실물 경제에서 성숙한 고객 및 공급자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통해 상하향 결제를 완료할 수 있는 능력에 크게 의존합니다. 그러나 기업 간 거래, 특히 결제 및 후속 금융 프로세스를 퍼블릭 블록체인에 적용하는 것은 고유한 과제를 안겨줍니다. 핵심 문제는 퍼블릭 블록체인 환경의 익명성과 기업의 금융 규정 준수 요건 간의 갈등에 있습니다.

기존 은행 또는 제3자 결제 시스템에서는 결제 기록에 일반적으로 양 당사자의 명확하고 검증 가능한 신원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후속 청구 및 회계 항목의 직접적인 근거가 됩니다. 그러나 퍼블릭 블록체인 이체에서는 거래 기록에 양 당사자의 지갑 주소, 거래 해시, 타임스탬프만 공개되며, 실제 법인과 직접적으로 일치하는 신원 정보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양 당사자는 청구서 발행 시 신원을 확인하고 거래의 실체를 확인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반면, 프라이빗 블록체인(예: DiChain)이나 컨소시엄 블록체인(예: AntChain)은 일반적으로 신원 인증 메커니즘(예: CA 인증서 결합)을 통합하여 설계되어 기업 규정 준수 요건을 더욱 효과적으로 충족합니다. 따라서 명확한 감사 추적 및 규정 준수를 요구하는 기업의 경우, 퍼블릭 블록체인 환경에서 이체 후 회계 항목을 효율적이고 규정을 준수하여 작성하는 방법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시급한 실질적인 문제입니다.

5.2 자체 구축된 2계층 네트워크 구축 시 산업 경쟁으로 인한 과제

자체 레이어 2 블록체인을 구축하기로 선택한 기업의 경우 퍼블릭 체인 생태계의 초기 기반은 체인에서 상류 및 하류 기업 간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하는 가스 수수료 수익에 의존합니다.그러나 기존 기반에서 개별 사용자의 규모를 더욱 확장하려면 필연적으로 다른 레이어 2 네트워크와 경쟁하게 됩니다.현재 이더리움 레이어 2 시장은 상당한 과점적 특성을 보였습니다.opBNB, Base, Arbitrum, OP Mainnet, Linea로 대표되는 주요 퍼블릭 체인은 활성 주소 기준으로 전체 레이어 2 네트워크의 총 거래량의 90% 이상을 차지했습니다[17].시장 집중도가 높고 신규 체인의 고객 확보 임계값이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 환경에서 Treasury가 기존 사업 경계를 허물고 외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주류 퍼블릭 체인과 경쟁하고자 한다면, 기본적인 거래 시나리오에만 의존하는 것은 차별화된 우위를 확보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Treasury는 독립적인 DeFi 프로토콜 시스템을 구축하고, 혁신적인 온체인 애플리케이션을 도입하며, 매력적인 폐쇄형 생태계를 점진적으로 구축하여 유동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고, 사용자 충성도를 높이며, 궁극적으로 고도로 집중된 레이어 2 시장에서 개발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더리움 레이어 2 네트워크의 활성 주소. 이미지 출처: 토큰터미널

5.3 이더리움 메인넷 전략 전환의 과제

비탈릭 부테린이 레이어 2 네트워크 개발에 대한 지지를 거듭 표명했지만, 메인넷 개발은 여전히 이더리움 재단의 최우선 과제입니다. 2025년 8월, 이더리움 재단은 메인넷 처리량을 4,500만 TPS로 높이고 블록 비동기 처리(BAL)와 zkEVM 기술을 통해 네트워크 효율성과 탈중앙화를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스케일 L1(Scale L1)" 이니셔티브를 공식 출범했습니다. 이는 메인넷 성능 향상에 더욱 중점을 두는 이더리움 개발 방향의 중요한 전략적 전환을 의미합니다. 간단히 말해, 이더리움 메인넷은 좁은 고속도로처럼 종종 정체를 경험하는 반면, BAL과 zkEVM은 메인넷을 복잡한 고가도로로 변화시켜 거시적, 미시적으로 교통 흐름을 극대화합니다.

이러한 전략적 조정의 배경은 2024년 3월에 완료된 Dencun 업그레이드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 EIP-4844(Proto-Danksharding) 구현으로 레이어 2의 데이터 가용성 비용이 90% 이상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이 업그레이드는 메인넷 거래량 증가를 주도하지 않고 대신 거래 활동의 레이어 2로의 마이그레이션을 가속화했습니다. 동시에 레이어 2가 메인넷에 지불하는 "임대료"(데이터 정산 수수료)는 총 거래 수수료의 약 2%에 불과합니다. 베이스 네트워크를 예로 들면, 2025년 하반기에 월 평균 가스 수수료 수입은 500만 달러로 안정화되었지만[18], 같은 기간 동안 메인넷에 지불된 임대료는 14만 달러에 불과하여 2.8%를 차지했으며, 이는 메인넷이 레이어 2의 가치 확보에 기여하는 바가 제한적임을 보여줍니다.

이더리움 레이어 2가 메인넷에 지불하는 토지 임대료. 이미지 출처: growthepie

스케일 L1 전략에 따라 이더리움 재단과 커뮤니티 리소스는 메인넷 성능 최적화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예상되며, 레이어 2 개발은 단기적으로 더 이상 우선순위가 아닐 수 있습니다. 한편, 메인넷 성능 개선과 거래 비용 최적화는 일부 사용자를 메인넷으로 다시 유입시켜 기존 레이어 2 네트워크의 활성 주소와 거래량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자체 레이어 2 블록체인 구축을 고려하는 기업은 이러한 전략적 변화가 초래하는 구조적 과제를 충분히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류 레이어 2 블록체인이 이미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있는 상황에서, 신생 블록체인은 생태계의 초기 진입이라는 어려움뿐만 아니라 메인넷 성능 향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이탈이라는 압박에 직면해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온체인 생태계의 차별화된 포지셔닝과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을 신중하게 평가하고, 거시적 기술 로드맵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전략 계획에 충분히 반영해야 합니다.

VI. 결론

이더리움 재무 기업들의 경우, 자체 레이어 2 네트워크 구축은 "암호화폐-주식 통합" 추세 속에서 전략적 업그레이드를 위한 중요한 경로이지만, 모든 기업에 적합한 궁극적인 해결책은 아닙니다. 이러한 결정은 기업의 자원, 사업 기반, 그리고 전략적 목표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내려야 합니다. 성숙한 최종 사용자 생태계와 높은 거래 빈도를 가진 기업의 경우, RaaS와 같은 표준화된 도구를 통해 자체 레이어 2 네트워크를 구축하면 통제 가능한 비용으로 비즈니스 체인 혁신과 생태계 확장을 달성할 수 있으며, 자본 시장에서 더 높은 mNAV 프리미엄을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레이어 2 시장의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이더리움 메인넷 성능이 지속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신흥 퍼블릭 체인들은 생태계 콜드 스타트 및 사용자 확보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재무 기업들은 자체 체인 구축의 장기적인 전략적 가치와 단기적인 운영상의 압박을 신중하게 비교 검토하고, 빠르게 진화하는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차별화된 온체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구축에 자원을 집중해야 합니다.

참고문헌

【1】https://www.strategicethreserve.xyz/

【2】https://www.binance.com/en-GB/proof-of-reserves

【3】https://farside.co.uk/eth/

【4】https://eips.ethereum.org/EIPS/eip-4844

【5】https://eips.ethereum.org/EIPS/eip-7691

【6】https://eips.ethereum.org/EIPS/eip-7683

【7】https://www.bitpush.news/articles/2679317

[8] https://news.bitcoin.com/zh/weitalike-butelin-cheng-base-wei-yitaifang-l2-de-bangyang/

【9】https://defillama.com/chain/base

【10】https://tokenterminal.com/explorer/projects/soneium/metrics/active-addresses-daily

【11】https://docs.optimism.io/concepts/stack/getting-started

【12】https://arbitrum.io/orbit

【13】https://docs.zksync.io/

【14】https://www.agglayer.dev/

【15】https://s.foresightnews.pro/article/detail/78857

【16】https://app.artemisanalytics.com/chains

【17】https://tokenterminal.com/explorer/markets/blockchains-l2

【18】https://app.artemisanalytics.com/chains

【19】https://www.theblockbeats.info/tw/news/59629

ETH
퍼블릭 체인
데이트
Odaily 공식 커뮤니티에 가입하세요
AI 요약
맨 위로
  • 核心观点:以太坊财库公司可通过自建Layer2实现战略升维。
  • 关键要素:
    1. 头部公司持ETH超400万枚,规模持续增长。
    2. RaaS服务降低技术门槛,月费3000-5000美元。
    3. 自建链可实现生态主导与额外收益。
  • 市场影响:增强机构在以太坊生态治理影响力。
  • 时效性标注:中期影响
Odaily 플래닛 데일리 앱 다운로드
일부 사람들이 먼저 Web3.0을 이해하게 하자
IOS
Andro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