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 경고: '가상화폐', '블록체인'이라는 이름으로 불법 자금 모집 위험에 주의하세요. — 은행보험감독관리위원회 등 5개 부처
검색
로그인
简中
繁中
English
日本語
한국어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BTC
ETH
HTX
SOL
BNB
시장 동향 보기
OP 연구: “Cosmos”는 Layer 2의 최종 형태입니까?
OP Research
特邀专栏作者
2023-08-31 04:00
이 기사는 약 9698자로, 전체를 읽는 데 약 14분이 소요됩니다
칸쿤 업그레이드가 다가옴에 따라 상하이 업그레이드 이후 시장의 관심은 점차 LSD 및 LSDFi에서 레이어 2 부문으로 옮겨졌습니다.또한 ARB 토큰 출시로 많은 사용자가 Arbitrum 생태계에 진입하고 다른 레이어 2 생태계에 합류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아직 코인을 발행하지 않은 코인입니다.

원작자: Jam, CloudY

원편집자: Vincero, YL

배경

레이어 2는 최근 시장의 초점입니다

ZK 시리즈의 롤업 또한 큰 관심을 가지고 자체 ZKEVM과 테스트넷을 출시했으며 에어드랍을 통해 실제 사용자와 자금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어 사용자가 매일 상호 작용해야 하는 레이어 2 퍼블릭 체인이 너무 많아 한동안 너무 바빠졌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트랙이 매우 혼잡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특히 Arbitrum은 에어드롭의 도움으로 많은 관심을 끌었으며, 생태 발전을 장려하고 사용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자체 생태 프로젝트에 생태 보조금을 지급하기도 했습니다.

이로 인해 Arbitrum의 TVL과 Tx는 일년 내내 Optimism의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합니다. ZKSync는 또한 시대와 에어드랍 기대를 통해 TVL과 Tx의 급속한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가장 먼저 코인을 발행한 옵티미즘은 데이터 측면에서의 억압에 더해 매달 대량의 토큰 언락에 직면했고, 이러한 상황을 되찾기 위해 옵티미즘은 OP 스택 전략을 활용해 반격했다. OP Stack이 출시되었을 때 Coinbase가 OP Stack을 사용하여 자체 Layer 2B ASE를 개발하고 A16Z도 OP Stack을 사용하여 자체 Layer 2 Magi를 발행할 것이라고 발표할 때까지 시장은 크게 반응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레이어 2 출시가 하나의 공감대가 된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들이 잇달아 레이어 2 워 참여를 발표했다. OP 토큰의 가격도 BASE 체인이 온라인 상태가 될 때까지 계속 상승했습니다.

그리고 다른 기존 레이어 2는 Optimism과 경쟁하기 위해 Arbitrum Orbit, Polygon 2.0, ZKSync의 Hyperchain 및 Starware의 Starknet과 같은 자체 스택을 출시하기로 선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레이어 2가 스테이지 승리 달성

시장에서는 미래의 블록체인이 멀티체인이 될지 아니면 레이어 2가 될지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레이어 2와 다중 체인(특히 기능적 체인)이 실제로 새로운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22년 초반에도 우리는 Blockchian의 미래가 멀티체인인지 ETH+Layer 2인지 계속 논의하고 있었습니다. 이제 Cosmos는 두 번째 Tier로 후퇴했으며 Optimism/Arbitrum/Polygon과 같은 Layer 2에 관심을 빼앗겼습니다. /ZKSync. 펀드와 개발자도 레이어 2에 투자하고 정착하기 위해 투표를 받습니다.

POS로 전환하고 상하이 업그레이드를 거친 후 ETH는 가장 많은 수의 온체인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확장과 디플레이션의 길을 가고 있습니다. 혁신 없이 새로운 퍼블릭 체인을 개발하고 ETH 트래픽을 포착하기 위한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보다 이더리움이 제공하는 컴퓨팅 파워와 상태를 기반으로 보안을 직접적으로 보장하고 ETH를 GAS 토큰으로 사용하며 이를 통해 개발자와 유동성을 유치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EVM 및 인센티브 이는 플라이휠 효과를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데이터 관점에서 볼 때, 레이어 2는 이제 TVL/프로젝트 수/독립 사용자 수 등에서 지배적입니다. 동시에 레이어 2의 출시를 발표하고 진입을 기다리고 있는 많은 프로젝트 당사자가 있습니다. 저는 레이어 2의 멀티체인 시대가 도래했다고 믿습니다.

그러나 Terra 사건 이후에도 Terra 체인/Juno 체인과 같은 코스모스 생태계는 다음과 같이 시장에서 거의 철수했습니다.

  • Injective

  • Canto

  • Berachain

  • Sei

  • dYdX v4 

이러한 코스모스 생태계는 메인 네트워크를 곧 출시하거나 이미 출시했으며, 현재의 블록체인 문제를 보다 급진적으로 해결하고 자체 생태계를 구축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Cosmos에는 evm을 사용하여 ETH 급행 열차를 타고 ETH 유동성을 얻기 위해 ETH 생태계에서 혈액을 빨아들이는 Evmos도 있습니다. Cosmos 자체도 Cosmos 2.0을 출시하여 ATOM에 권한을 부여하고 체인 간 보안 및 블록 경매를 통해 생태계에서 중요성을 높이기를 희망합니다. 그러나 현재의 2차 추세와 TVL로 판단할 때, 코스모스 생태계는 테라 이후 쇠퇴에서 성공적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코스모스 생태계가 서로 싸우는 상태로 인해 제한을 받습니다.

출처: L2 BEAT – 레이어 2 생태계 상태, defillama.com, 2023년 0821 기준

OP Stack은 Cosmos 플레이 스타일을 재현합니다.

레이어 2의 멀티체인 시대를 어떻게 설명할까요? 멀티체인을 연결하는 것이 코스모스 허브나 중계체인이 아니라 이더리움이라는 점만 빼면 과거 코스모스와 폴카닷이 말한 멀티체인 서사와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실제로 이더리움은 DA 레이어로서 보안만 제공하고 레이어 2와 실제로 통신하지 않기 때문에 스택에 기회를 제공합니다 중간 롤업 레이어인 레이어 2는 퍼블릭 체인 맞춤형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여 돈을 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브는 다른 레이어 2 값을 캡처하거나 레이어 3을 DA 레이어로 충전하는 역할도 합니다.

실제로 레이어 2 자체는 이더리움 모듈화의 한 단계이므로 레이어 2 모듈을 겹쳐서 레이어 2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구축한 다음 중앙 허브를 통해 각 레이어 2를 연결하여 원자 수준의 크로스 체인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 이를 바탕으로 중앙 허브는 DA 레이어 역할도 할 수 있으며, 그 위에 레이어 3 애플리케이션 체인을 구축하여 퍼블릭 체인의 혁신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코스모스처럼 자신의 핵심 기능을 공통 구성 요소로 만들어 다른 체인에 제공하여 자체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 이러한 경쟁 우위는 퍼블릭 체인만으로는 비교할 수 없습니다. 반면 낙관주의는 코스모스와 유사하게 체인 발행 허가 없이 낮은 임계값 개발, 높은 호환성, 크로스체인 상호 운용성 및 기타 기능을 선택하여 자체 생태계를 구축합니다.

멀티체인 서사의 시작: 코스모스

코스모스의 디자인은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의 협업을 장려하고, 가치와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생태계의 상호 운용성을 실현하며, 멀티 체인 상호 운용성을 탐구한 최초의 플레이어입니다.

Cosmos는 Tendermint 합의 메커니즘, Cosmos SDK 및 IBC(Inter-Blockchain Communication) 크로스 체인 통신 프로토콜의 세 가지 핵심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고도로 모듈화되고 상호 운용 가능한 블록체인 생태계입니다.

1. 텐더민트 합의 메커니즘

Tendermint는 Tendermint Core와 ABCI로 구성된 Cosmos Hub의 네트워크 합의 엔진입니다. PBFT+Bonded PoS 하이브리드 합의를 사용하여 검증인의 2/3 이상이 합의에 도달하도록 보장합니다. Tendermint는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본 합의에서 분리하고 상태 머신으로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제어하며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ABCI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이 아키텍처는 합의와 다른 체인에 대한 액세스를 지원합니다.

출처: Tendermint 아키텍처: 사진은 공식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2.Cosmos SDK

Cosmos SDK는 Tendermint 위에 모듈형 상태 머신을 구축할 수 있는 개발자 툴킷입니다. 개발자는 SDK를 사용하여 새로운 블록체인을 구축하거나 Peg Zone 브리지를 통해 Cosmos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SDK는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여러 구획으로 나누는 다중 저장소 개념을 제공하며 각 모듈은 자체 상태를 관리합니다. SDK의 모듈에는 주로 복잡한 상태 머신을 구축하는 데 사용되는 Bank, Auth, StakeSlashing 등이 포함됩니다.

출처: Cosmos SDK 다이어그램: 사진은 공식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3. IBC 크로스체인 통신 프로토콜

IBC는 코스모스 내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의 통신을 구현하는 프로토콜로, Zone 간 크로스체인 상호작용에 사용됩니다. 허브에서 IBC 연결을 설정하면 영역이 해당 허브에 연결된 다른 영역과 통신할 수 있습니다. IBC를 통해 Zone은 토큰과 데이터 패킷을 보내 크로스체인 자산과 정보의 전송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PG Zone은 IBC를 통해 직접 접근할 수 없는 외부 블록체인(비트코인 등)을 연결하는 브릿지 역할을 하여 코스모스 내 블록체인과 상호 운용이 가능하게 해줍니다.

출처: IBC 커뮤니케이션 도식: 사진은 공식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의 조합을 통해 개발자는 안전하고 유연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체인 간 상호 운용성과 블록체인 간의 자산 전송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코스모스의 허브 및 존 아키텍처와 크로스체인 상호 운용성

코스모스는 허브(Hub)와 존(Zone) 모델의 아키텍처를 채택합니다. 여기서 허브는 네트워크의 중앙 허브이고 존은 네트워크에 독립적으로 연결된 퍼블릭 체인입니다. Hub는 각 Zone의 상태를 추적하고 기록하며, 각 Zone은 생성된 새 블록을 Hub에 피드백하고 Hub의 상태를 동기화해야 합니다. 서로 다른 영역은 상태를 직접 동기화하지 않지만 허브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신합니다.

기술적으로 코스모스의 허브 및 존 모델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의 상호 운용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Zone은 Hub를 통해 통신하고 Hub는 실시간으로 전역 상태를 동기화합니다.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본 합의에서 분리하고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ABCI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개발자는 모든 언어로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 아키텍처는 합의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블록체인의 액세스도 용이하게 합니다.

코스모스의 핵심 토큰 $ATOM은 주로 허브 생태계에서 거래 수수료와 거버넌스 투표를 지불하는 데 사용되며, 토큰에 대한 수요는 코스모스 생태계의 발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코스모스는 멀티체인 유니버스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보편적인 블록체인 개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크로스체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크로스 체인 메커니즘 측면에서 코스모스 허브는 중계 체인 역할을 하고, 존은 병렬 체인으로, 각 체인에는 자체 검증자가 있습니다. 네트워크의 핵심인 코스모스 허브는 IBC 프로토콜을 통해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합니다. Zone은 Hub를 통해 다른 Zone과 통신해야 하며, 서로 다른 Zone 간의 관리 방식은 분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한 영역이 공격이나 오작동을 겪더라도 다른 영역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출처 : Cosmos Architecture Schematic : 사진은 공식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코스모스는 전체적으로 다중 체인 상호 운용성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허브 및 존 아키텍처와 IBC 프로토콜 도입을 통해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의 원활한 통신 및 체인 간 자산 전송을 실현합니다. 또한 Cosmos의 모듈식 아키텍처는 개발자에게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Cosmos SDK를 사용하여 개발자는 다양한 기능 모듈을 갖춘 맞춤형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Tendermint 합의 메커니즘은 Cosmos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높은 보안성과 확장성을 보장하는 PBFT+Bonded PoS 하이브리드 합의를 채택합니다. Tendermint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합의를 분리함으로써 더 높은 수준의 모듈성과 확장성을 달성하는 동시에 애플리케이션 로직의 상호 작용을 위한 ABCI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새로운 멀티체인 내러티브: 슈퍼체인

Cosmos의 핵심 목표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의 상호 운용성과 상호 운용성을 달성하는 것입니다. 현재 Layer 2 War 경쟁의 초점은 이 목표에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것 같습니다.

레이어 2 솔루션은 증가하는 트랜잭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Ethereum 네트워크의 처리량과 확장성을 높이는 목표를 공유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레이어 2 간 경쟁의 초점은 순수한 성능 개선에서 더 넓은 상호 운용성, 상호 운용성, 심지어 생태학으로 점차 옮겨갔습니다.

  • 상호 운용성: 점점 더 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와 레이어 2 솔루션이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와 개발자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에 자산과 데이터를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상호 운용성의 실현은 사용자에게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하여 서로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상호 운용성: 레이어 2 솔루션의 경쟁으로 인해 개발자는 서로 다른 레이어 2 간의 상호 운용성을 달성하기 위해 보다 일반적인 기술 표준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호 운용성은 서로 다른 레이어 2 네트워크 간의 협업과 데이터 교환을 촉진하여 더욱 풍부한 생태계를 조성합니다.

  • 시너지 효과: Cosmos의 허브 및 영역 아키텍처와 유사하게 레이어 2 솔루션 간의 상호 운용성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서로 다른 레이어 2 솔루션 간의 상호 운용성은 전체 생태계의 가치를 강화하고 더 많은 사용자와 개발자의 참여를 유도할 것입니다.

  • 마찰 비용 절감: 서로 다른 블록체인과 레이어 2 간의 상호 운용성을 달성하면 사용자의 마찰 비용이 줄어듭니다. 사용자는 더 이상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번거로운 교환 및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경험과 참여가 향상됩니다.

다음은 레이어 2의 구성표와 경로를 비교한 것입니다.

Source:Stacy Muur、l2 beat、OP Research| 20230827 

Optimism

OP Stack은 대가족에게 더 많은 좌석을 제공하여 모든 사람이 이사하지 않고도 참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습니다.

낙관론 롤업 및 OP 스택

Optimism Rollup(ORU)은 이더리움(L1)을 기반으로 하는 레이어 2(L2) 확장 솔루션으로, L1의 합의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L2의 보안과 확장성을 보장하고 추가적인 독립적인 합의 메커니즘을 도입하지 않는 것이 설계 개념입니다. 상위 체인-하위 체인 모델의 일부로 ORU는 상위 체인을 이더리움이 상위 체인 역할을 하는 L1으로 배치합니다.

ORU의 작동 메커니즘에는 세 가지 주요 단계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데이터 저장(Blockstorage)으로, L2의 트랜잭션을 구성하여 블록에 기록한 다음, 이 블록을 압축된 형식으로 L1에 기록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데이터 가용성이 유지되므로 필요할 때마다 트랜잭션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둘째, 블록프로덕션 단계에는 L2 블록을 구축하고 실행하는 시퀀서의 작동이 포함됩니다. 이 프로세스에는 거래 확인, 새 블록 구성, 거래 제출을 위해 관련 정보를 L1에 전달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마지막으로 블록 실행(Blockexecution) 단계에서는 새로운 블록의 수신을 보장하고 L2 네트워크의 안정적인 운영을 유지합니다.

반면 OP 스택은 Optimism 기술을 지원하는 표준화된 개발 스택 역할을 합니다. 구체적인 관점에서 아래에서 위로 첫 번째는 L2의 원본 데이터 소스를 정의하는 데이터 가용성 계층(DALayer)입니다. 현재 이더리움 메인 체인은 이 수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두 번째는 시퀀싱 레이어(SequencingLayer)입니다. 이 레이어의 기능은 트랜잭션 확인, 상태 업데이트 및 L2 블록 구성을 담당하는 시퀀서에 의해 수행됩니다. 그런 다음 파생 레이어가 있습니다. 파생 레이어는 표준 Ethereum 엔진 API를 통해 실행 레이어로 전송되는 처리된 입력을 형성하기 위해 데이터 가용성 레이어에서 원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실행 계층(ExecutionLayer)은 L2 시스템의 상태 구조를 정의하고 EVM(Ethereum Virtual Machine) 또는 기타 가상 머신을 지원하며 트랜잭션에 대한 일부 L1 데이터 수수료를 추가합니다. 결제 레이어는 최종 결제를 위해 L2에서 확인한 거래 데이터를 대상 블록체인으로 보내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마지막으로 거버넌스 레이어가 있는데, 현재 솔루션[1]은 여러 OP Stack 기반 체인과 동일한 거버넌스 표준 세트를 공유하는 것입니다.

출처: OP 스택 구조|출처: 바이낸스 리서치

*참고 [ 1 ]: Optimization.mirror.xyz

Superchain

슈퍼체인을 사용하면 보안, 통신 레이어 및 개발 키트(OP 스택)를 공유하여 다양한 레이어 2(L2)가 함께 작동할 수 있습니다.

기존 L1 설계에서는 확장성과 성능이 제한 요소인 경우가 많은 반면, Superchain은 여러 L2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더 강력한 확장성과 성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수평적 확장을 통해 시스템의 용량이 더 커질 뿐만 아니라 개발자와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합니다.

OP 스택을 기반으로 하는 슈퍼체인은 다양한 L2 솔루션의 연결 지점이 되어 다양한 블록체인 및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의 대규모 운영을 지원합니다. Optimism 기술을 지원하는 표준화된 개발 스택인 OP Stack은 다양한 L2 네트워크를 통합하고 이러한 네트워크 간의 상호 운용성을 촉진합니다. 여러 L2를 슈퍼체인에 통합하면 보다 효율적이고 유연한 크로스체인 통신이 가능해지며 사용자는 서로 다른 L2 간에 자산과 정보를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어 더 많은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슈퍼체인의 주요 속성 중 하나는 모듈성입니다. OP Stack을 개발 기반으로 사용함으로써 각 L2 네트워크는 필요에 따라 레이어 모듈을 선택하고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 구성 요소를 유연하게 결합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듈식 설계는 시스템 사용자 정의 가능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과 혁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또한 슈퍼체인은 상호 운용성을 강조하여 다양한 L2 솔루션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리소스 공유 및 정보 전송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OP 스택을 기반으로 하는 슈퍼체인은 저렴한 배포 옵션을 제공하여 더 많은 개발자와 프로젝트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보다 광범위한 L2 네트워크의 개발 및 채택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출처: Superchain Architecture: OP 공식에서

실제로 OP 스택을 사용하여 더 많은 레이어 2를 발행하는 것은 슈퍼체인 구축의 첫 번째 단계에 불과합니다. 형성된 OP 스택은 레이어 2가 시퀀서를 공유하고 경제 및 정보를 교환하며 통합 보안 거버넌스 메커니즘과 상호 작용을 구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체인 생태.

BASE를 예로 들면 Optimism과 BASE의 협력에는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프로토콜 관리입니다. BASE는 체인의 법칙을 준수하고 op-geth 및 op-node 클라이언트의 운영에 참여하는 동시에 패러다임이 설계한 Op-reth 실패 채택 클라이언트를 증명하고 비관적 비관적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정합니다. 두 번째는 경제 및 거버넌스이며 BASE는 자체 분류기 수입의 2.5% 또는 L1 가스를 차감한 퍼블릭 체인 이익의 15%를 사용합니다. (둘 중 더 높은 쪽) OP Stack 사용 비용으로 Optimisim은 거버넌스 참여에 대한 대가로 총 OP 공급량의 최대 2.75%를 BASE에 제공합니다. BASE와 Optimism은 계약 업그레이드를 제어하는 ​​다중 서명을 관리하기 위해 보안 이사회를 공동으로 설립하고 팀원이 일방적으로 악행을 저지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전자 키 관리 체계를 수립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OP 스택을 기반으로 구축된 모든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L2 구축 요구 사항에 따라 다양한 수준의 OP 스택 모듈을 유연하게 결합할 수 있습니다. Optimism(현재 OP 메인넷)은 첫 번째 L2로서 슈퍼 체인의 생태 체인을 공동으로 구축합니다. 이를 통해 전체 생태계의 탄력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요구 사항과 혁신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Arbitrum

Optimism의 Superchain 전략(OP Stack을 기반으로 L2 구축)과 달리 Arbitrum의 Orbitchain 전략을 사용하면 Arbitrum Nitro(OP와 유사한 기술 스택)를 기반으로 Arbitrum 메인 네트워크(Arbitrum One, Nova 및 Goerli 포함)에서 레이어를 생성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스택) 3, 애플리케이션 체인이라고도 합니다.

출처: Orbitchain Architecture: ARB 공식 웹사이트

Optimism의 Superchain과 달리 Arbitrum은 보다 유연하고 사용자 정의 가능한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Orbit은 모든 개발자가 ARB를 기반으로 L3(애플리케이션 체인)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발 프레임워크이며, 최종 아키텍처는 Orbit 체인입니다. Orbit 체인은 향후 Arbitrum Stylus 업그레이드와 호환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러한 호환성 덕분에 개발자는 C, C++, Rust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분산형 애플리케이션(dApp)을 더 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함으로써 개발자는 새로운 기술 스택으로 마이그레이션할 필요 없이 기능이 풍부한 dApp을 보다 자유롭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는 dApp 개발자가 다양한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더 큰 유연성과 선택권을 제공합니다.

출처: Orbitchain 아키텍처: ARB 공식 문서에서

그러나 현재 Arbitrum Orbit은 여전히 ​​테스트 네트워크 단계에 있으며 아직 OP Stack의 모듈 무결성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ZKSync Era

주권과 원활한 연결은 ZK Stack의 핵심 이야기입니다.

개발자는 하이퍼체인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는 완전한 자율성을 갖습니다. 하이퍼체인은 보안과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Ethereum Layer 1에만 의존하여 독립적으로 작동합니다. 하이퍼브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하이퍼체인이 서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20230623에 출시된 ZK Stack은 ZKSync 시대의 코드를 기반으로 맞춤형 ZK 지원 L2 및 L3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모듈식 독립형 ZK 하이퍼체인을 구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입니다. 따라서 기술 아키텍처는 OP Stack과 다르지 않습니다.

ZK Stack은 모듈식, 주권, 영지식 기술 기반 하이퍼체인을 구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입니다. ZK Credo에서 제기된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고 분산형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ZK Stack의 핵심 기능에는 무료 오픈 소스, 구성 가능성, 모듈식 사용자 정의, 입증된 보안 및 향후 확장성이 포함됩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MIT/Apache 오픈 소스 라이선스에 따라 Matter Labs에서 개발되었습니다. ZK Stack으로 구축된 하이퍼체인은 짧은 대기 시간과 공유 유동성으로 무신뢰 네트워크에서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는 보안과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필요에 따라 하이퍼체인을 맞춤화할 수 있습니다. ZKSync Era의 코드를 기반으로 ZK Stack은 Hyperbridge의 도움으로 슈퍼 체인 간의 상호 운용성을 실현하여 빠르고 저렴한 상호 운용성을 달성합니다. 개발자는 필요에 따라 하이퍼체인을 맞춤화하고 하이퍼브리지를 통해 상호 연결을 구현함으로써 신뢰할 수 없고 빠르며 저렴한 상호 운용성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ZK Stack은 L1-L2 브리지가 비동기식이기 때문에 더 넓은 생태계에서 맞춤형 하이퍼체인이나 비동기식 연결이 필요한 시나리오에 적합합니다. 아키텍처 관점에서 ZKSync Era에는 2가지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가 있습니다.

  • 1) L2의 하이퍼체인 중 하나로 동일한 레벨의 L2와 상호 연결되어 유동성 및 기타 생태자원을 공유합니다.

  • 2) L3의 DA 레이어.

하이퍼체인은 오프체인 계산을 검증하여 신뢰 문제를 해결하고,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영지식 증명을 사용합니다. Hyperbridge는 하이퍼체인을 연결하여 데이터 전송 및 상호 운용성을 달성합니다. 하이퍼체인은 검증 브릿지, 로컬 브릿지, 데이터 가용성의 특성을 지닌 하이퍼브리지를 통해 통일된 유동성 네트워크를 구축합니다. 사용자 관점에서 하이퍼체인은 원활한 상호 운용성과 크로스체인 지갑 관리를 실현하여 사용자 경험을 보장합니다. 기술적으로는 검증 브리지, 공유 검증자, 데이터 가용성 등에 기반한 하이퍼체인이 하이퍼브리지의 기반을 형성합니다.

Source:matter-labs

종합하면, 하이퍼체인의 확장성과 구성성은 디자인의 핵심입니다. 하이퍼체인의 L3는 같은 레벨의 L3와 상호 연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더리움을 DAlayer로 직접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L3는 본질적으로 L2이다. 아래 사진에서 왼쪽 상단 두 번째 아이템인 하이퍼체인 L3가 가장 직접적인 사례증명이다. 그러나 ZK Rollup의 퍼블릭 체인인 Layer 2는 Solidity 프로그래밍 언어와의 격차를 해소해야 할 뿐만 아니라 ZK 회로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특정 능력도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ZKPorter만 공유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그것. 그러나 ZKSync는 현재 완전한 구성 요소 공유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지 않아 하이퍼체인이 프로그래밍 언어 및 기술 측면에서 많은 개발자의 진입을 제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ZK Rollup은 기술적으로 탈중앙화되면서 백만 수준의 PTS 거래량을 달성할 수 있지만 시퀀서의 중앙화와 함께 ZK Proof의 비용도 더 높으며 복잡한 스마트 계약의 가스 요금도 더 높습니다. 호환성이 좋지 않아 실패하기 쉽기 때문에 ZKSync가 단기간에 빠르게 발전하기 어렵기 때문에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코인이 발행되지 않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ZK Sync는 하이퍼체인 아키텍처에서 특정 최적화를 수행했습니다. 시스템의 LLVM 컴파일러는 Solidity 및 기타 최신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며 Rust, C++ 및 Swift와 같은 언어에 대한 지원도 추가했습니다. 개발자 접근성. 하지만 전반적으로 하이퍼체인은 개발이 가장 어렵습니다.

출처: 공식 문서

전반적으로 스타크넷 스택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에 있으며, 온체인 생태계의 개발도 아직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Polygon 2.0 

전체 설계 아이디어에서 Polygon 2.0은 Polygon의 PoS 메인넷과 ZKEVM이 Polygon의 백본이 되고 동시에 Supernets 애플리케이션 체인을 도입하여 Polygon의 생태계를 강화하기를 희망하며, 이로 인한 실제 이익은 POL 토큰이기 때문입니다. Polygon 2.0의 슈퍼넷은 약속되어야 합니다. POL 토큰은 퍼블릭 체인의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노드를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Polygon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세 가지 옵션인 PoS 노드/ZKEVM 노드/Miden VM을 제공합니다. 매력을 확대하기 위해 Polygon은 영지식 증명과 Blueprint라는 Web3 게임 개발 가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Polygon DID도 지원합니다. 폴리곤 2.0은 인큐베이션의 관점에서 그 자체로 더욱 풍부한 생태를 획득하기로 선택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Polygon 2.0의 Supernets 소개에서는 기업용 블록체인 개념이 여러 번 언급되었으며, Polygon과 Starbucks/Nike/Warner Music 등과의 협력을 통해 우리는 또 다른 해자가 낮은 임계값과 고도로 맞춤화된 애플리케이션의 기업용 버전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체인.

구조적으로 Polygon 2.0은 OP Stack과 유사하며 다음과 같은 여러 레이어로 나뉩니다.

  • Staking Layer

  • Interop Layer

  • Execution Layer

  • Proving Layer

  • 계층화된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 Link

  • Network

  • Transport

  • Application Layer

  • 이는 인터넷 프로토콜 구성 요소에서 빌려온 것이며 각 프로토콜 계층은 기술 스택인 특정 하위 프로세스를 담당합니다.

    Staking Layer

    이 서약 레이어 기능은 기본적으로 이더리움의 PoS(지분 증명)와 동일하지만 Polygon 메인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원래 Polygon 메인 네트워크 외에도 Polygon에는 ZKEVM, Supernets 등도 있습니다. 따라서 유효성 검사기는 재스테이킹과 유사한 모드를 사용하여 많은 체인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효성 검사기 관리자에 의해 관리됩니다.

    체인 관리자 계약은 각 체인에 속한 검증인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며, 각 체인에는 검증인 수와 준수해야 할 규정이나 추가로 스테이킹해야 하는 토큰 등 검증인에 대한 추가 요구 사항을 결정하기 위한 자체 체인 관리자 계약이 있습니다. 이는 검증자가 검증에 참여하기 위해 체인 자체 토큰을 추가로 스테이킹해야 할 수도 있음을 의미합니다.

    사실 이 서약 레이어가 Polygon 2.0의 핵심입니다. Optimism 및 Arbitrum과 달리 Supernet이 실행되려면 $POL을 서약하는 Validator의 지원을 받아야 합니다. Polygon 체인이 많을수록 더 많은 Validator가 필요하며, POL 생성 통화 가치가 높아집니다. 그러나 Restake 모델은 또한 Supernets 팀이 인프라보다는 유틸리티와 커뮤니티에 집중하여 퍼블릭 체인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Interop Layer

    Interop Layer는 ZK Proof를 사용하여 Cosmos와 같은 기본 크로스체인을 구현합니다. Polygon ZKEVM 롤업에서 사용되는 LxLy 프로토콜을 확장함으로써 Polygon은 Aggregator를 도입하여 원자 수준의 체인 간 상호 운용성을 달성합니다. 첫째, ZK 증명과 메시지 큐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여러 ZK 증명을 하나의 ZK 증명으로 집계하여 검증을 위해 이더리움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Polygon과 Ethereum 사이의 미들웨어입니다.

    따라서 체인 A가 보낸 Message Queue와 ZK 증명을 Aggregator가 수신하면 대상 체인인 체인 B가 체인 A로부터 메시지를 직접 수신할 수 있어 원활한 크로스 체인 상호 작용이 실현됩니다. 물론 Polygon은 PoS Validator 형태로 Aggregator를 탈중앙화하려고 시도합니다.

    Execution Layer

    각 체인에서 실행 계층의 역할은 비교적 유사합니다. 그 중에는 P2P/합의/Memepool/데이터베이스와 ZK 증명에 고유한 증인 생성기가 있습니다.

    Proving Layer

    증명 레이어는 ZK-Rollup 고유의 레이어로, 본질적으로 폴리곤 체인의 모든 거래에 대해 ZK 증명을 생성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주로 일반 증명자와 상태 머신으로 구성되며 일반 증명자는 재귀적 SNARK 기술을 사용하여 Plonky 2를 상속하고 상태 머신에는 Polygon 팀에서 제공하거나 ZKWASM과 같이 퍼블릭 체인 팀에서 자체 구축한 ZKEVM 및 MidenVM이 있습니다. .

요약

기술 오픈 소스 관점

OP Stack은 많은 프로젝트에서 환영받고 있으며, Base/Magi/opBNB/Worldcoin을 포함한 12개 이상의 프로젝트에서 OP Stack 사용을 발표한 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라이선스의 개방성입니다. 사진을 보면 Optimism은 MIT 라이선스를 사용하고 Arbitrum/ZKSync/Starknet/Polygon은 Apache License 2.0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모두 오픈 소스이지만 두 라이선스는 수준이 다릅니다. 개방성의. MIT 라이센스는 원본 라이센스 설명과 저작권 설명만 유지하도록 요구하며 상업적 사용, 배포, 수정, 개인 사용, 추가 계약은 물론 MIT 라이센스 코드의 판매도 허용합니다. Apache 라이센스 2.0에서는 수정된 소스 코드가 수정된 파일에 문서화되도록 요구합니다. 파생 프로젝트에는 원본 프로젝트 코드에 Apache-2.0 프로토콜은 물론 원본 작성자가 규정한 상표, 특허 명세서 및 기타 지침이 있어야 합니다. 파생 프로젝트에 공지사항 파일이 포함되어 있으면 Apache-2.0 프로토콜도 공지사항 파일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MIT 라이선스가 가장 허용적인 반면 Apache 라이선스는 더 엄격합니다.

호환성 관점

  • 1) Optimism은 이더리움 EVM과의 호환성이 매우 높습니다. Optimism의 코드에는 12,745개의 커밋과 2.3,000개의 포크가 있으며, 이는 많은 수의 코드 업데이트와 매우 높은 개발자 채택률을 의미합니다.

  • 2) 또한 기술적 관점에서 볼 때 ZK 시스템은 이더리움의 보안 및 합의 메커니즘을 최대한 활용하며 보안에 직접적으로 의존합니다. OP 시리즈와 비교하여 ZK 시리즈는 기본 상태 업데이트를 기다리지 않고 상태 변경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설계를 단순화하고 크로스 체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OP는 비동기 크로스체인 호출로 제한되며 기본 확인 및 확인을 기다려야 합니다.

기술 아키텍처 관점

  • 1) 현재 Optimism과 Polygon은 L2 확장에 주력하고 있으며 Arbitrum, ZK Sync, Starknet은 L3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레이어 3의 애플리케이션 체인은 더 ​​높은 수준의 자유도/확장성 및 자율성을 가지고 있지만 시장은 여전히 ​​레이어 2에서 발전하고 있으며 레이어 3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먼 미래에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레이어 3 크로스 체인 상호 운용성이 기술적으로 완전히 구현되지 않았으며 현재 누구도 레이어 3 크로스 체인 상호 운용성을 달성할 수 있다고 광고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 경우 구성성에 중점을 둔 dApp은 필연적으로 DeFi Lego를 구축하기 위해 레이어 2를 선택하게 됩니다.

  • 2) 모듈화 및 SDK 구성 요소는 현재 블록체인의 통합 경로입니다. dApp용 퍼블릭 체인이든 레이어 2/레이어 3용 스택이든 모두 최소 프로그래밍 임계값과 최대 사용자 정의를 사용하여 개발자의 구축 비용을 절감합니다. 프로젝트 비용을 절감하면 제품 디자인과 커뮤니티 운영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Rollup As A Service를 핵심 비즈니스로 전문화하는 AltLayer와 같은 프로젝트도 있으므로 인프라가 개선됨에 따라 코드 없는 체인 개발 및 개발 프로젝트가 확실히 더 보편화될 것입니다.

개발 진행 관점

현재 OP Stack과 Polygon 2.0만이 빠르게 개발되고 있지만 OP는 가장 빠른 생태계 발전을 이루고 퍼블릭 체인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Arbirtum, ZKSync 및 Starknet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특히 ZKSync와 스타크넷 메인넷 생태계가 잘 정립되지 않은 경우, OP 슈퍼체인의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개발 전략에 더 가깝다고 유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탈중앙화 정도 측면에서 볼 때 스타크웨어의 ZK 증명 생성기 STARK Prove-Stone은 8월 31일 Apache 2.0 라이선스에 따라 오픈소스화되었으며, OP Stack은 Base의 도움을 받아 탈중앙화 정렬기 계획이 없습니다. 스타크웨어가 탈중앙화 과정에서 선두 위치에 있을 수 있음을 보았습니다.

멀티체인 서사와 슈퍼체인 서사 비교

IBC 및 Keplr 지갑을 갖춘 레이어 2 크로스체인

Layer 2 다중 체인의 주요 내용은 원자 수준의 크로스 체인 트랜잭션입니다. OP Stack은 공유 시퀀서를 통해 IBC와 동일한 체인 간 통신 효과를 달성합니다. Polygon 2.0은 공개 검증자 세트와 강력한 공유 보안을 사용하여 다각형 허브 .

그러나 현재의 Layer 2 크로스체인은 아직 서사적 단계에 있으며, 크로스체인 브릿지 모드를 기반으로 한 EVM 크로스체인(웜홀/레이어제로/액셀라)만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IBC 사이의 격차는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매우 분명합니다.

얼마 전 SEI의 크로스체인 에어드랍은 이러한 격차를 잘 보여주었습니다.

Wormhole을 사용하여 Ethereum/Arbitrum/Polygon/BSC에서 크로스체인을 수행하는 USDC는 SEI에서 Wormhole의 크로스체인 할당량을 초과하기 때문에 SEI 체인에서 크로스체인하려면 24시간을 기다려야 합니다.

하지만 IBC를 거쳐 Osmosis에서 SEI로 교차하는 ATOM과 OSMO는 교차하는 순간 다시 원래 체인으로 교차할 수 있습니다. 역시 IBC 생태계에 속하는 Axelar USDC도 이러한 이유로 선호되지만 SEI 공식 브릿지의 Axelar 크로스체인 메커니즘으로 인해 SEI에 들어오고 나가는 데 약 30분 정도의 대기 시간이 있습니다. 하지만 IBC 퍼블릭 체인에 직접 사용하면 즉시 도착합니다. 24시간 결제가 좋은지, 즉시 결제가 좋은지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Keplr과 비교할 때 MetaMask의 레이어 2 체인 간 전환 경험에도 상당한 격차가 있습니다. Layer 2 퍼블릭 체인의 증가에 따라 서로 다른 체인 간 전환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각 체인의 자산과 상호 작용은 MetaMask에서 서로 독립적이며 이를 균일하게 관리하려면 타사 도구를 사용해야 하지만 이는 또한 재정적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그러나 Keplr 지갑은 전체 생태계의 자금 규모와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Layer 2의 Stack 전략에서는 자체 생태 자산을 통합하기 위해 Keplr와 유사한 Super Wallet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ISC 및 블록 경매와 공유 시퀀서

시퀀서는 Rollup의 수익과 보안의 핵심입니다. 공유 분류기는 새로운 레이어 2가 분류기의 구축 및 유지 관리를 건너뛸 수 있게 하고, 모든 체인의 MEV 수익을 얻을 수도 있어 슈퍼체인의 가치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분류기를 공유한다는 것은 기본 보안을 공유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현재 Layer 2 Stack의 분류기는 너무 중앙 집중화되어 있습니다. PoS 분류기와 다중 조직 다중 서명 구현만이 Vitalik의 Stage 2를 향한 단계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향후 공유 시퀀서 및 분산형 시퀀서는 수익을 확대하고 보안을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Cosmos 자조의 핵심 중 하나인 ICS는 Cosmos 생태 공개 체인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Cosmos 허브가 ATOM 토큰에 권한을 부여할 수 있도록 더 많은 가치 포착을 제공합니다. 과거 코스모스 생태계는 각자의 보안을 확보하기 위해 PoS를 사용했고, ATOM은 코스모스 허브의 보안을 확보하기 위해서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약속된 ATOM 에어드랍과 PoS 기본소득만이 ATOM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이라는 점에서 다릅니다. 현재 레이어 2 OP Stack이 Superchain을 통해 Layered Security를 ​​선택한 반면 Polygon 2.0은 Restake를 통해 Mesh Security를 ​​선택했다는 점을 제외하면 현상 유지는 매우 유사합니다. 블록 경매는 MEV의 가격을 책정하고 비즈니스 모델에서 MEV를 해결하는 것, 즉 시퀀서의 가치를 정량화하는 것입니다. 공유 분류기가 구축되면 자연스럽게 MEV의 가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슈퍼체인의 MEV 수익은 단순히 분류기에서 수집되어서는 안 되므로 공유 분류기가 구현된 직후에는 스택스의 블록 경매가 반드시 온라인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Source:Delphi Digital

 결론: 코스모스가 되는 것은 레이어 2의 최종 형태이다

Layer 2 Stacks의 Cosmos 모델 인식을 고려할 때 Berachain/Injective/Sei/Canto와 같은 퍼블릭 체인을 활용하고 퍼블릭 체인을 도입하는 등 현재 코스모스 생태계의 특징적인 메커니즘을 곧 최적화하고 채택해야 합니다. 수준의 기본 유동성/테라 스타일 기본 안정적 통화/퍼블릭 체인 수준 기본 대출/가스 공유 메커니즘/모듈형 배포 계약/블록 경매 등을 통해 레이어 2를 구축합니다. 또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Keplr 지갑과 유사한 Stack 생태 지갑을 개발하여 생태 자산을 통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스택에서 누락된 가장 중요한 코스모스 메커니즘은 실제로 체인 간 보안의 풀 버전입니다. 서로 다른 레이어 2 스택이 서로 정렬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즉, 개별 스택이 아닌 정렬기 레이어의 분산화입니다. .분류기는 단일 분류기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분산되어 있습니다. 동시에 PoS 기반 분류기는 여러 분류기를 구현하여 재스테이킹과 유사한 방법으로 동일한 체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코스모스 ICS의 Layered Security와 Mesh Security입니다.

시장에서는 코스모스나 OP 슈퍼체인의 역할이 분명히 있을 것입니다.

실제로 시장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허브 역할을 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생태자원을 공유함으로써 전체 생태계의 성장을 달성하는 코스모스나 OP 슈퍼체인과 유사한 역할을 찾고 있습니다. OP 스택의 접근 방식이 실현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향후 공백을 메울 새로운 솔루션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ARB Orbit, OP Superchain 또는 ZK Stacks와 유사한 역할이 결국 등장하든 관계없이 모두 레이어 2 확장으로 가는 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ZK 기술이 성숙하고 임계값이 해제됨에 따라 ZK 기술을 도입한 ZK 시리즈 또는 OP 시리즈 스택이 레이어 2 멀티 체인의 기치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ZK 기술은 높은 TPS와 분산화를 제공합니다. 이는 호환성 외에 용량 확장을 위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속성이며, 고도의 보안 공유 조건 하에서 기술적 보장이기도 합니다. ZKSync와 Starknet의 개발 진행 속도는 느리지만 TVL과 사용자 수 증가는 모두에게 명백하므로 OP Stack의 선점자 이점과 호환성 성능이 스택 시장을 빠르게 점유할 것인지, 아니면 ZK Stack의 높은 TPS가 기대됩니다. 그리고 분권화 화학에너지는 기술이 성숙된 이후 상황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Reference

[ 1 ] 레이어 2의 네 왕이 스택 배치를 위해 경쟁하는 이유

https://haotiancryptoinsight.substack.com/p/layer2stack

[ 2 ] 슈퍼체인의 도래: 코인베이스와 옵티미즘이 공동으로 만든 OP 스택에 대한 심층적 해석

https://www.8btc.com/article/6806138

[ 3 ]《Crazy Multichain Universe, Crazy OP Stack》

https://medium.com/ybbcapital/crazy-multichain-universe-crazy-op-stack-acb63be8d5 15 

[ 4 ]《Introduction to Hyperchains》

https://medium.com/matter-labs/introduction-to-hyperchains-fdb33414ead7

[ 5 ]《Introducing the ZK Stack》

https://medium.com/matter-labs/introducing-the-ZK-stack-c24240c2532a

[ 6 ] ZKSync 생태학적 프로세스와 탈중앙화 프로세스의 변수

https://twitter.com/tmel0 211/status/1663034763832344576 

[ 7 ]《A gentle introduction: Orbit chains》

https://docs.arbitrum.io/launch-orbit-chain/orbit-gentle-introduction
[ 8 ]《The Starknet Stack’s Growth Spurt》

https://starkware.co/resource/the-starknet-stacks-growth-spurt/
[9]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차이점

https://www.geek-workshop.com/thread-1860-1-1.html
[10]《The Appchain Universe: The Risks and Opportunities》

https://medium.com/alliancedao/the-appchain-universe-the-risks-and-opportunities-9a22530e2a0c
[11]《Application-Specific Blockchain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medium.com/1kx network/application-specific-blockchains-9 a 36511 c 832 
[ 12 ]《The Inevitability of UNIchain》

https://medium.com/nascent-xyz/the-inevitability-of-unichain-bc600c92c 5 c 4 

데이터 소스:

[ 13 ]https://defillama.com/chains
[14]https://dune.com/Marcov/Optimism-Ethereum
[15]https://dune.com/gopimanchurian/arbitrum
[16]https://dune.com/gm365/L2

퍼블릭 체인
Cosmos
크로스체인
Polygon
기술
Layer 2
Odaily 공식 커뮤니티에 가입하세요
AI 요약
맨 위로
칸쿤 업그레이드가 다가옴에 따라 상하이 업그레이드 이후 시장의 관심은 점차 LSD 및 LSDFi에서 레이어 2 부문으로 옮겨졌습니다.또한 ARB 토큰 출시로 많은 사용자가 Arbitrum 생태계에 진입하고 다른 레이어 2 생태계에 합류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아직 코인을 발행하지 않은 코인입니다.
Odaily 플래닛 데일리 앱 다운로드
일부 사람들이 먼저 Web3.0을 이해하게 하자
IOS
Android